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혼례란

혼례도구
복식
목화

단령 등의 옷을 입을 때 신는 긴 반장화 모양의 신발인 목화목화(木靴)란 단령 등의 상복(常服, 조선시대 때 왕이나 백관이 평상 시 집무 중에 입던 옷)을 입을 때 신는 신이다. 형태는 목이 긴 반장화(半長靴) 모양의 신발이다. 겉은 흑색 우단이며, 안은 백색 융을 대었고, 밑창은 나무 혹은 가죽을 사용하였으며 각 솔기에는 붉은 선을 둘렀다. 비슷한 모양의 신으로는 조선시대 무관들이 신었던 수화자(水靴子, 목이 긴 무관의 신발), 흑피화(黑皮靴, 관리들이 공복(公服)이나 상복에 신은 검은 가죽으로 만든 목이 긴 신발), 고려 초기 악공들이 신은 적피화(赤皮靴, 붉은 색 가죽신), 춤꾼들이 신은 오피화(烏皮靴, 검은색 가죽신) 등이 있다.장화의 모양을 유지하기 위하여 발목까지 나무를 대어 꼿꼿하게 세웠다는 데서 목화라는 말이 유래되었다. 목화 중에서 흰 천으로 겉을 싼 것은 백화(白靴)라고 한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말을 탄 사람과 춤추는 사람, 음식을 나르는 여인 등이 신고 있어 목화는 천인계급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나 조선 세종 때는 왕족과 벼슬아치들이 신었고, 이를 규제하기도 하였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따르면 일정한 신분계급만 목화를 신도록 하였고, 조선 중기와 후기에는 상복(常服), 말기에는 공복(公服) 차림에 신었다. 혼례 때 단령을 혼례복으로 입을 때는 목화를 신었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