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상례 절차

상례절차
천구
절차설명

발인 하루 전 발인을 위해 영구를 옮기고 조상에게 인사하는 등의 모든 절차, 천구천구(遷柩)란 발인 하루 전에 발인하기 위해 영구를 옮기고 조상에게 인사하고, 상여를 꾸미고, 이제 영원히 떠나게 되었다는 것을 고하는 견전(遣奠)을 지내는 등의 모든 절차를 말한다. 다른 절차와 달리 2일에 걸쳐 진행된다.1) 천구고

발인 하루 전날 조전을 올리면서 영구를 옮길 것을 영좌에 고하는 절차, 천구고천구고(遷柩告)란 발인 하루 전날 조전(朝奠)을 올리면서 영구를 옮길 것을 영좌에 고하는 절차를 말한다. 음식은 조전과 같이 차린다. 축관이 술을 올리고 북향으로 부복하여 “좋은 날에 영구를 옮기고자 감히 아룁니다.”라고 고한다. 고사(告辭)를 다 읽고 축관이 일어나면 주인 이하 모두 곡을 극진히 하면서 재배한다. 고사식은 다음과 같다.          今以吉辰遷      柩敢告2) 조조

영구를 받들어 모시고 사당에 가서 조상에게 하직인사를 하게 하는 절차, 조조조조(朝祖)란 영구를 받들어 모시고 사당에 가서 조상에게 하직인사를 하게 하는 절차로, 봉구조우조(奉柩朝于祖)라 한다. 영구를 옮기기 위해 일꾼들이 들어오면 부인들은 나가고 상주는 지팡이를 거두고 영구를 살핀다. 축관이 ‘사당에 뵙기를 청합니다(請 朝祖).’라고 고사를 읽는다. 만약 영구를 별도의 장소에 가매장을 하는 도빈(塗殯)을 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여는 계빈(啓殯)을 한다. 계빈을 할 때도 똑같이 고사를 한다. 축관이 상자에 혼백을 모시고 앞장서면 집사자들이 전(奠)과 교의, 탁자 등을 들고 따른다. 이어 명정을, 그리고 그 뒤로 영구를 받들고 따른다.상주들이 곡을 하며 따라가는데, 남자는 오른쪽으로 가고 여자는 왼쪽으로 간다. 복이 무거운 사람이 앞장서고 복이 가벼운 사람이 뒤쪽으로 선다. 모두 주인과 주부의 뒤를 따른다. 사당 앞에 이르면 중문(中門)으로 들어가는데, 대종(大宗)을 계승하는 종자(宗子)가 아니면 문을 열지 않는다. 집사자가 먼저 자리를 펴고 영구를 그 위에 모시는데, 머리를 북쪽으로 한다. 부인은 개두(蓋頭, 터드레)를 벗고, 집사자가 영좌와 전 드릴 것을 영구의 서쪽에서 동향하여 차린다. 주인 이하가 자리에 나아가 서서 곡하고, 슬픔을 다한 후에 그친다.만약 자리가 좁아 영구를 옮기기 힘들 경우 혼백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이때는 전과 교의, 탁자를 앞세우고, 명정을 따르게 한 후 그 뒤로 혼백을 모시고 가는데, 사당에 이르러서는 자리를 깔고 혼백을 북향하여 놓고 위와 같이 한다. 만약 종가가 멀면 조조는 하지 않아도 된다.3) 천우청사

사당에서의 하직인사 후 영구를 다시 청사로 옮기는 절차, 천우청사사당에서 조상에게 하직인사를 한 후 다시 청사(廳事, 대청)로 영구를 옮기는 절차로 천우청사(遷于廳事)라고 한다. 먼저 집사자가 청사에 휘장을 치는데, 부인들은 물러난다. 축관이 혼백을 모시고 영구를 인도하여 청사로 가면 주인 이하가 곡을 하면서 따라간다. 청사에 이르면 집사자가 자리를 깔고 그 위에 영구의 머리를 남쪽으로 가게 놓는다. 영좌와 전을 영구 앞에 남향으로 진설하면 주인 이하는 자리에 나아가 곡을 한다. 발인할 때까지 바꾸어 곡을 끊이지 않게 한다. 만약 혼백을 모시고 사당에 인사를 했을 때는 영구를 약간 움직여 영구를 옮기는 뜻을 대신해도 된다.
전을 차리면 곡을 대신하게 하는 대곡(代哭)을 염(斂)을 하기 이전처럼 한다. 이어 친척과 손님이 술을 올리고 부의(賻儀)하는데, 초상 때 의례와 같이 한다. 부의하는 물품은 차, 초, 술, 과일 등이다. 친분이 두터운 사람은 희생(犧牲, 제사를 지낼 때 제물로 쓰는 살아 있는 소)을 써도 된다.

4) 진기

발인에 필요한 물품을 순서에 따라 진열해 두는 일, 진기진기(陳器)란 발인(發靷)에 필요한 방상시(方相氏), 명정(銘旌), 영여(靈轝), 공포(功布), 대여(大轝), 삽선(翣扇) 등을 순서에 따라 진열해 두는 일을 말한다. 방상시는 운구 행렬 앞에서 길을 인도하면서 잡귀를 쫓을 뿐만 아니라 광중(壙中, 시신을 매장하는 구덩이)의 악귀를 쫓기 위한 것으로 두려워하는 모습을 본떠서 만든다. 신분에 따라 4품 이상이면 눈이 4개인 방상시를, 5품 이하는 눈이 2개인 기두(魌頭)를 상여 행렬 맨 앞에 세운다. 영여에는 혼백을 모시고 향을 준비해 둔다. 발인 전날 낮에 준비하여 점검한 후 밤에는 거두어 들였다가 다음날 다시 늘어놓는다.5) 조전

발인 전날 상여가 나가는 길의 신인 도신에게 올리는 전, 조전조전(祖奠)이란 발인 전날 상여가 나가는 길의 신인 도신(道神)에게 올리는 전(奠)이다. 올리는 시간은 발인 하루 전날 오후 3~5시[日晡時]이고, 음식은 조전(朝奠)과 같이 차린다. 포시(哺時)는 신시(申時, 3~5시)이기 때문에 저녁상식을 올린 뒤에 전(奠)을 마련하는 것으로 석전(夕奠)을 겸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을 차리지 않는다.축관이 술을 올리고 나서 북향하여 무릎을 꿇고 고한다. 고하는 내용은 ‘영원히 옮겨 가는 예이니, 좋은 세월은 머물지 않아 지금 영구차를 받들어 조도를 행하겠습니다.’라는 내용이다. 여기서 조도(祖道)란 길을 떠날 때 길 귀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고사식은 다음과 같다.  永遷之禮靈辰不留今奉      柩車式遵祖道고사가 끝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난다. 이후의 절차는 조석전(朝夕奠)과 같다.

6) 천구취여

영구를 상여에 싣고 행상할 준비를 하는 절차, 천구취여발인(發靷)하는 날이 밝으면 영구를 상여에 싣고 행상할 준비를 하는데 이를 천구취여(遷柩就轝)라고 한다. 상여를 마당에 준비하고 어제 일포시에 차렸던 조전(祖奠)을 치운다. 이어 북향하여 영구를 상여에 옮길 것을 고한다. 내용은 당일 고하는 서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오늘 영구를 옮겨 대여로 나아감에 감히 아뢰나이다.’라고 한다. 고사식은 다음과 같다. 아내나 아우 이하에게는 ‘감히 아뢴다[敢告].’는 말 대신에 ‘이에 고한다[玆告].’고 한다. 만약 하루 전에 고하게 되면 ‘금일(今日)’ 대신에 ‘금(今)’이라고 한다.  今日遷      柩就轝敢告고사를 마치면, 영좌를 옮겨 상여 옆에 놓고 영구를 상여로 옮겨 싣는다. 영구를 상여에 고정하고 나면 축관이 영좌를 영구 앞으로 옮겨 남향으로 차린다.

7) 견전

상여에 영구를 싣고 나서 발인 전 출발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고하는 전, 견전견전(遣奠)이란 상여에 영구를 싣고 나서 발인을 하기 전에 출발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고하는 전이다. 견전은 관행에서 발인제(發靷祭)라고도 한다. 이 때 부녀자들은 참가하지 않는다. 차리는 음식은 조전(朝奠)과 같이 하되 포를 추가한다. 축관이 분향하고, 술을 올린 후 떠날 것을 고한다. 고하는 내용은 ‘상여에 멍에를 씌워 유택(幽宅, 묘소)으로 가니 견전례를 베풀어 영원히 작별하나이다.’라는 내용이다.  靈輀旣駕往卽幽宅載陣遣禮永訣終天고사를 마치면 주인 이하는 모두 곡을 하고 재배한다. 끝나면 바로 전을 치운다. 이어 축관이 혼백을 모시고 상여에 올라가서 분향한다. 이때 따로 상자를 만들어 신주를 담아 혼백 뒤에 놓는다. 부인은 개두(蓋頭, 터드레)를 하고 섬돌 아래로 내려와서 곡한다. 집에 있어야 할 사람들은 곡을 하고 재배하여 하직인사를 한다. 이때 존장(尊長)은 절을 하지 않는다.


예서기록

주자가례

1. 발인 하루 전에 조전(朝奠)을 올리면서 천구할 것을 고한다.【發引前一日, 因朝奠以遷柩告】 조전처럼 찬을 진설한다. 축이 술 따르기를 마치고 북쪽을 향하여 무릎을 꿇고 “이제 길일에 천구하고자 하여 감히 고합니다.”라고 고하고, 구부리고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주인 이하가 슬픔을 다하여 곡을 하고 재배를 한다. 대개 옛날에는 계빈(啓殯) 때 전(奠)이 있었으나 지금은 이미 빈소에 진흙을 바르지 않으니 그 예를 행할 곳이 없다. 그러나 또 절문이 없어서는 안 되므로 이 예를 시행하는 것이다.【設饌如朝奠. 祝斟酒訖, 北面跪, 告曰, “今以吉辰遷柩, 敢告.” 俛伏興. 主人以下哭盡哀, 再拜. 葢古有啓殯之奠, 今既不塗殯, 則其禮無所施. 然又不可全無節文, 故爲此禮也.】 2. 널을 받들고 조상에게 하직인사를 한다.【奉柩朝於祖】 천구하려고 역자가 들어오면 부인은 물러나 피한다. 주인과 중주인이 집장(輯杖)을 하고 서서 살펴본다. 축이 상자에 혼백을 받들고 앞에서 걸어가 사당 앞으로 나아간다. 집사자가 전(奠)과 의자 그리고 탁자를 받들고 그 뒤를 따르고, 명정(銘旌)이 그 다음이다. 역자가 널을 들고 그 다음으로 따른다. 주인 이하는 따라가며 곡을 한다. 남자는 오른쪽으로 가고 여자는 왼쪽으로 간다. 무거운 복을 하는 사람이 앞에 서고 가벼운 복을 하는 사람이 뒤에 서도록 복에 따라 각자 차례를 정한다. 시자는 끝에 선다. 복이 없는 친척들의 경우 남자는 남자의 오른쪽에 서고 여자는 여자의 왼쪽에 자리하는데, 모두 주인과 주부의 뒤에 자리한다. 부인이 모두 개두(蓋頭)를 한다. 사당 앞에 이르러 집사자가 먼저 돗자리를 깔면 역자가 그 위에 널을 올리는데 머리를 북쪽으로 둔다. 부인은 개두를 벗는다. 축이 집사자를 인솔하여 영좌 및 전을 널의 서쪽에 진설하고 동쪽을 향하면, 주인 이하가 자리에 나아가 서서 슬픔을 다하여 곡을 한 뒤 그친다. 이 예는 대개 평소 외출하려고 하면 반드시 존자에게 인사를 하는 것을 본 뜬 것이다.【將遷柩, 役者入, 婦人退避. 主人及衆主人輯杖立視. 祝以箱奉魂帛, 前行, 詣祠堂前. 執事者奉奠及倚卓次之, 銘旌次之. 役者舉柩次之. 主人以下從哭. 男子由右, 婦人由左, 重服在前, 輕服在後, 服各爲敘. 侍者在末. 無服之親男居男右, 女居女左, 皆次主人主婦之後. 婦人皆葢頭. 至祠堂前, 執事者先布席, 役者致柩於其上, 北首而出. 婦人去蓋頭. 祝帥執事者設靈座及奠於柩西, 東向, 主人以下就位立, 哭盡哀, 止. 此禮蓋象平生將出必辭尊者也.】 3. 이어서 청사로 옮긴다.【遂遷於廳事】 집사자가 청사에 휘장을 설치한다. 역자가 들어가면 부인은 물러나 피한다. 축이 혼백을 받들고 널을 인도하여 오른쪽으로 돈다. 주인 이하 남녀가 곡을 하면서 따르는데 앞서 청사로 나아갈 때처럼 한다. 집사자가 돗자리를 깔면 역자가 자리 위에 널을 놓는데 머리를 남쪽으로 한 뒤 나온다. 축이 영좌 및 전을 널 앞에 진설하는데 남쪽을 향하도록 한다. 주인 이하는 자리에 나아가 앉아서 곡을 하는데 멍석을 깔고 앉는다.【執事者設帷於廳事. 役者入, 婦人退避. 祝奉魂帛導柩, 右旋. 主人以下男女哭從, 如前詣廳事. 執事者布席, 役者置柩於席上, 南首而出. 祝設靈座及奠於柩前, 南向. 主人以下就位坐哭, 藉以薦席.】 4. 이에 교대로 곡을 한다.【乃代哭】 염을 하기 전처럼 하여 발인 때까지 한다.【如未殮之前, 以至發引.】 5. 친척과 빈객이 전을 올리고 부의를 한다.【親賓致奠賻】 초상 때의 의식과 같다.【如初喪儀.】 6. 제기를 진설한다.【陳器】 방상이 앞에 서는데, 광부가 맡는다. 관복은 도사처럼 하고 창을 자고 방패를 휘두른다. 4품 이상은 눈이 4개인 방상을 만들고, 4품 이하는 눈이 2개인 기두(魌頭)를 만든다. 명기, 하장, 소, 앵을 다음에 두는데 상에 담아 마주 든다. 명정을 다음에 두는데 받침대를 제거하고 잡는다. 영거를 다음에 두는데 혼백과 향불을 받든다. 대여를 다음에 두는데 대여의 옆쪽에 삽을 두고 사람에게 잡도록 한다.【方相在前, 狂夫爲之, 冠服如道士, 執戈揚盾. 四品以上四目爲方相, 以下兩目爲魌頭. 次明器·下帳·苞·筲·甖, 以牀舁之. 次銘旌, 去跗執之. 次靈車, 以奉魂帛香火. 次大轝, 轝旁有翣, 使人執之.】 7. 날이 저물 때 조전(祖奠)을 진설한다.【日晡時設祖奠】 찬물은 조전 때와 같다. 축이 술을 따르기를 마치고 북쪽을 향하여 무릎을 꿇고 “영원히 옮겨가는 예에, 좋은 날은 머물지 않기에 이제 영거를 받들었으니 부디 첫걸음 나서시기 바랍니다.”라고 고하고, 구부리고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나머지는 조전과 석전의 의절과 같다. 사마온공이 말하였다. “만약 널이 다른 곳에서 돌아와 장사를 지낼 경우라면, 출발하는 날에는 조전만 행하고 곡한 뒤 출발하며, 장사 때에 이르러 조전과 아래의 견전례를 갖춘다.”【饌如朝奠. 祝斟酒訖, 北向跪, 告曰, “永遷之禮, 靈辰不留, 今奉柩車, 式遵祖道”, 俛伏興, 餘如朝夕奠儀. 司馬公曰, “若柩自它所歸葬, 則行日但設朝, 奠哭而行, 至葬乃備此及下遣奠禮.】 8. 다음날 널을 옮겨 상여로 나아간다.【厥明遷柩就轝】 상여꾼이 대여(大轝)를 뜰 안에 들이고, 기둥 위의 횡목을 빼낸다. 집사자가 조전을 치우면 축이 북쪽을 향해 꿇어앉아 “이제 널을 옮겨 상여로 나아가겠기에 감히 고합니다.”라고 고하고, 드디어 영좌를 옮겨 곁에 둔다. 부인은 물러나 피한다. 역부(役夫)를 불러 널을 옮겨 상여로 나아가게 하고 곧바로 싣고서 횡목을 설치하고 쐬기를 박은 뒤 끈으로 묶어 매우 견고하게 만든다. 주인이 널을 따라가며 곡하고 내려와 싣는 것을 살핀다. 부인은 휘장 속에서 곡을 한다. 싣는 것을 마치면 축이 집사자를 인솔하여 영좌를 널 앞에 설치하는데 남쪽을 향하게 한다. 【轝夫納大轝於中庭, 脫柱上撗扄. 執事者徹祖奠, 祝北向跪告曰, “今遷柩就轝, 敢告”, 遂遷靈座置旁側. 婦人退避. 召役夫, 遷柩就轝, 乃施扄加楔, 以索維之, 令極牢實. 主人從柩哭降, 視載. 婦人哭於帷中. 載畢, 祝帥執事者遷靈座於柩前, 南向.】 9. 이에 견전을 진설한다.【乃設遣奠】 찬물은 조전 때와 같지만 포가 있다. 부인은 참여하지 않는다. 견전을 마치면 집사자가 포를 거두어 보자기에 싼 뒤 여상 위에 놓고 전을 치운다.【饌如朝奠, 有脯, 惟婦人不在. 奠畢, 執事者徹脯納苞中, 置舁牀上, 遂徹奠.】 10. 축이 혼백을 받들어 영거에 올리고 분향한다.【祝奉魂帛升車焚香】 별도로 상자에 신주를 담아 혼백 뒤에 둔다. 이때에 이르러 부인은 개두를 하고 휘장에서 나와 계단을 내려가 서서 곡을 한다. 집을 지키는 사람들은 슬픔을 다하여 곡을 하며 하직하는데 재배하고 돌아간다. 존장은 절하지 않는다.【別以箱盛主, 置帛後. 至是婦人乃葢頭出帷, 降階立哭. 守舎者哭辭盡哀, 再拜而歸. 尊長則不拜.】


상례비요

[조조(朝祖)의 준비물【朝祖之具】] 공축(輁軸) : 모양은 긴 평상과 같고 겨우 관을 올릴 정도이다. 굴대를 이용하여 굴리고 사람들을 이용하여 굴대를 굴린다.【輁軸: 狀如長牀, 僅可承棺. 轉之以軸, 輔之以人.】 공포(功布) : 3자의 마전하고 세척한 베를 가지고 만드는데, 대나무로 자루를 만든다. 관 위의 먼지를 털거나, 발인 때 축이 들고 역자(役者)를 지휘하는 데 쓰기 위한 것이다.【功布: 以盥濯灰治之布三尺爲之, 以竹爲柄. 所以拂去棺上塵土, 發引時祝執此以指麾役者.】 [조전(祖奠)과 견전(遣奠)의 준비물【祖奠具·遣奠具】] 의탁(倚卓) : 영좌(靈座) 앞에 설치했던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데, 상여가 쉴 때마다, 그리고 묘소에 이르러 설치한다.【倚卓: 仍用靈座前所設, 每舍及墓設之.】 흰 장막[白幕] : 남녀가 영구를 따를 때 양옆을 가리기위해 사용하는 것이다.【白幕: 男女從柩, 用以夾障者.】 장막과 휘장 : 영악(靈幄)과 친척 및 빈객의 자리와 부인의 자리에 치는 것이다.【帟幕·帷帳: 靈幄·親賓次·婦人幄所設者.】 돗자리[席] : 묘에 이르러 영구를 두는 곳에 까는 것이다.【席: 及墓用以置柩者.】 1. 『가례』 1과 동일 2. 『가례』 2와 동일 3. 『가례』 3과 동일 4. 『가례』 4와 동일 5. 『가례』 5와 동일 6. 『가례』 6과 동일 7. 『가례』 7과 동일 8. 『가례』 8과 동일 9. 『가례』 9와 동일 10. 『가례』 10과 동일


사의

[견전의 준비물【遣奠之具】] 찬: 술, 과일, 포, 식혜이다.【饌: 酒·果·脯·醢.】 포: 전(奠)을 마치면 포(脯)를 걷어 포대기[苞] 속에 넣어 영거(靈車) 위에 둔다.【苞: 奠畢, 徹脯納苞中, 置靈車上.】 1. 『가례』 1과 동일 2. 『가례』 2와 동일 3. 『가례』 3과 동일 4. 『가례』 4와 동일 5. 『가례』 5와 동일 6. 『가례』 6과 동일 7. 『가례』 7과 동일 8. 『가례』 8과 동일 9. 『가례』 9와 동일 10. 『가례』 10과 동일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