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상례 절차

상례절차
우제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 우제(안동 퇴계종택)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 우제(안동 퇴계종택)
절차설명

장사를 지내고 영혼을 맞이하여 편안하게 위안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 우제우(虞)는 편안하다는 뜻으로 우제(虞祭)란 부모의 장사를 지내고 영혼을 맞이하여 편안하게 위안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이다. 처음으로 지내는 제사(祭祀)로 오례(五禮)에서는 흉제(凶祭)에 속한다. 다시 말하면 매장을 마치기 전까지는 조상신이 아니라 고인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전(奠)으로 모든 의례를 행했으나 우제부터는 고인을 조상신으로 간주하여 제사로 모시게 된다. 그러나 아직 완전히 제사로 전이되지 않았기 때문에 축관이 주인의 오른쪽에서 서향하여 축문을 읽고, 제사에서 준비하는 정화수인 현주(玄酒)를 준비하지 않는다.반드시 장사 당일 지내야 하기 때문에 길이 멀 경우 도중에서 지내기도 한다. 관행에서는 이를 반혼제(返魂祭)라고도 한다.우제는 고인의 혼령을 평안히 모시기 위해 세 번 지낸다고 한다. 처음에 지내는 것을 초우제(初虞祭)라 하는데 장사 당일 지낸다. 반곡하여 집으로 돌아온 주인 이하 모두가 목욕재계(沐浴齋戒)하는데, 이는 제사를 지낼 준비이기 때문이다.우제는 제사를 지내는 순서와 거의 동일하나 세부적인 절차에서 길례(吉禮)로써 제사와 차이가 있다. 영좌에서 지내기 때문에 신주를 사당에서 모셔오는 출주(出主)라는 절차가 없다.초우제를 지낸 후부터는 아침저녁으로 올리는 조석전을 올리지 않는다. 그러나 아침저녁으로 행하는 조석곡은 처음과 같이 하고, 슬픔이 복받치면 처음과 같이 곡을 한다.1) 진기진기(陳器)란 우제를 지내기 위해 제사 장소에 기물을 늘어놓는 절차를 말한다. 먼저 관세(盥洗)를 위한 세숫대야를 서쪽에 마련한다. 동쪽의 대야는 받침이 있고, 수건걸이가 있으나 서쪽의 것은 없다. 영좌 앞의 탁자 동남쪽에 작은 탁자를 놓고 술주전자 및 잔과 잔받침을 준비한다. 그 앞에 빈그릇을 놓아 퇴주기(退酒器)로 삼는다. 제사상 정면에 향탁을 놓고 그 위에 향로와 향합, 그리고 축판을 놓아둔다. 향탁 앞쪽으로는 모사(茅沙, 뇌주강신(酹酒降神)을 할 때 주인이 술을 붓는 그릇으로, 모사기에 모래를 넣고 띠를 묶어세운 것)를 놓는다.2) 설소과설소과(設蔬果)란 채소와 과일, 잔과 잔받침을 차린다는 뜻으로 제사를 지내기 위해 제사상에 기본적인 음식을 차리는 절차를 말한다. 이른바 진설(陳設)의 절차에 해당한다. 수저는 첫째 줄의 안쪽 중앙에 놓고, 그 서쪽으로 술잔과 잔받침을, 수저 동쪽으로 식초접시를 놓는다. 과일은 넷째 줄에 놓고, 나물은 과일의 뒤쪽인 셋째 줄에 놓는다. 이어 술병을 준비한다.3) 신주출취사당에 있는 신주를 내모시는 출주를 하지 않고, 영좌에 있는 신주를 계독(啓櫝, 신주독의 뚜껑을 여는 일)하여 모시는 정도이기 때문에 이를 ‘신주를 내모신다.’고 하여 신주출취(神主出就)라고 한다. 축관이 손을 씻고 신주를 내모시면 상주들과 복인들이 지팡이를 방 밖에 두고, 영좌 앞으로 나아가 곡을 한다. 복이 무거운 사람이 앞에 서고 복이 가벼운 사람이 뒤에 서는데, 남자는 동쪽에, 여자는 서쪽에 선다. 신주를 내모시면 먼저 입곡(入哭, 상중 제사에서 신주를 모시면 영좌 앞에서 서서 곡을 하는 일로 우제부터 담제까지는 모두 참신을 하지 않고 입곡을 함)을 한다.4) 강신강신(降神)이란 제사를 지내는 장소에 신(神)이 강림(降臨)하기를 기원하는 절차이다. 방법은 향을 피워 양(陽)의 영역에 있는 신을 불러오고, 술을 땅에 부어 음(陰)의 영역에 있는 신을 불러오는 것으로 구조화 되어 있다.축관이 곡을 그치게 하면, 주인이 영좌 앞에 나아가 분향한다. 예서의 규정에는 분향을 할 때 재배하도록 하였지만, 집안에 따라 재배를 하기도 하고 뇌주(酹酒, 강신을 할 때 모사에 술을 3번으로 나누어 부어 술향기를 맡고 음의 영역에 있는 신이 강림하도록 하는 일)한 후에 한꺼번에 재배하는 집안이 있다. 이어 좌집사가 제사상 위의 잔과 잔받침을 받들어 주인의 왼쪽에서 동향하여 꿇어앉으면, 주인도 꿇어앉는다. 우집사가 술주전자를 들어 주인에게 주면 주인이 이를 받아 좌집사가 들고 있는 잔에 술을 따른다. 주인은 주전자를 우집사에게 돌려주고 좌집사로부터 잔을 받아 왼손으로 잔받침을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 위에 완전히 붓는 뇌주를 하고 난 후 빈 잔과 잔받침을 좌집사에게 주면 좌집사가 잔과 잔받침을 원래의 자리에 놓는다. 주인이 엎드렸다가 일어나 재배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례(家禮)』를 비롯한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의 예서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영남을 제외한 여러 지역에서 나타난다.강신할 때 술을 올리는 또 하나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인이 향탁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으면 좌집사가 제사상의 잔과 잔받침을 내려 주인에게 준다. 주인이 잔과 잔받침을 받으면 우집사가 주전자를 들어 술을 따른다. 주인이 왼손으로 잔받침을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완전히 붓는 뇌주를 하고 빈 잔과 잔받침을 좌집사에게 주면 원래의 자리에 놓는다. 주인이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나서 재배한다. 이러한 방법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일반화 된 방법이다.5) 진찬진찬(進饌)이란 진설에서 차리지 않은 나머지 제물을 차리는 절차이다. 2차 진설이라고도 한다. 주인과 주부가 진찬을 하도록 되어 있으나 집사자가 옆에서 돕는다. 생선, 고기, 적, 간, 면식(麵食, 국수), 미식(米食, 떡), 메, 국을 준비한다. 주인은 고기와 생선을 받들고, 주부는 떡과 면을 받들어 올린다. 주인은 국인 갱(羹)을, 주부는 밥인 메를 받들어 올린다. 영좌 앞에 이르러 고기는 잔과 잔받침의 남쪽에, 국수는 고기의 서쪽에, 생선은 식초 접시인 초접(醋楪)의 남쪽에, 떡은 생선의 동쪽에 놓는데, 둘째 줄이다. 메는 잔과 잔받침의 서쪽에 놓고 국은 초접의 동쪽에 놓는다. 신위의 입장에서 봤을 때는 왼쪽인 동쪽에 국을 놓고 오른쪽인 서쪽에 밥을 놓아 평상시 식사 때와는 반대로 놓은 것이다. 진찬을 마치면 초헌을 한다.6) 초헌초헌(初獻)이란 삼헌(三獻)을 하는 제사에서 첫 번째로 올리는 술잔을 말한다. 반드시 주인이 올리도록 되어 있다. 헌작하는 방법 역시 2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예서’의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방법이다.『가례(家禮)』나 『사례편람(四禮便覽)』 등 예서의 방법을 보면, 주인이 주전자를 들고 북향하여 서고, 좌집사는 제사상의 술잔을 내려 주인의 왼쪽에서 동향하여 선다. 주인이 좌집사가 들고 있는 잔에 술을 따르고 주전자를 원래의 장소에 놓고 영좌 앞으로 나아가 북향해서 선다. 주인이 향탁 앞에 꿇어앉으면, 좌집사 역시 술잔과 잔받침을 들고 주인의 왼쪽에 동향하여 꿇어앉아 잔과 잔받침을 주인에게 준다. 주인이 잔과 잔받침을 받아 모사(茅沙) 위에 세 번에 나누어 조금씩 따르고 잔을 좌집사에게 주면 잔을 받아 원래의 자리에 드린다. 주인이 일어나 조금 물러나 꿇어앉으면 참사자 전원이 꿇어앉는다.『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방법은 주인이 향탁 앞에 꿇어앉으면 좌집사가 제사상 위의 잔과 잔받침을 내려 주인에게 준다. 이어 우집사가 주인이 들고 있는 술잔에 술을 가득 붓는다. 주인이 잔과 잔받침을 받들었다가 모사에 세 번으로 나누어서 조금씩 따르고, 나서 이를 좌집사에게 주면 좌집사가 잔과 잔받침을 원래의 자리에 받들어 올린다.헌작을 마치면 집사자가 메그릇의 뚜껑을 여는 계반개(啓飯蓋)를 한다. 이어 축관이 주인의 오른쪽에서 서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축을 읽는다. 축관이 주인의 오른쪽에 앉아 서향하여 독축하는 것이 우제가 흉제임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축문은 ‘부군께 감히 고합니다. 세월은 머물지 않아 문득 초우가 되었습니다. 자나 깨나 애처롭게 사모하는 마음이 편안하지가 않아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협사(祫事, 이제부터 사당에 모신 선조에게 합하여 제사를 모시는 일)를 슬피 올리니 흠향하십시오.’라는 내용이다.          維  年號幾年歲次干支幾月干支朔幾日干支孤子某          敢昭告于      顯考某官府君日月不居奄及初虞夙興夜處          哀慕不寧謹以淸酌庶羞哀薦祫事          尙      饗어머니 상에는 고자를 ‘애자(哀子)’로, 부모 모두 돌아가셨으면 ‘고애자(孤哀子)’로 고친다. 승중(承重, 장손(長孫)으로서 아버지가 먼저 돌아가셔 조부 이상을 계승하는 손자)인 경우에는 ‘고손(孤孫)’, ‘애손(哀孫)’, ‘고애손(孤哀孫)’으로 고친다. 아내의 상에는 ‘부(夫)’라 하고, 항렬이 낮거나 나이가 어린 경우에는 친속칭호를 따른다.어머니의 경우에는 ‘현고’를 ‘현비(顯妣)’로, 승중일 경우는 그에 따라 높인다. 아내의 경우에는 ‘망실(亡室)’이라 하고, 항렬이 낮거나 나이가 어리면 친속칭호를 따르고 ‘현’을 ‘망(亡)’으로 바꾼다.아내의 경우에는 ‘감(敢)’을 빼고, 동생 이하에는 ‘고우(告于)’라고만 한다. 아내 이하에게는 ‘부군(府君)’이라는 2글자를 뺀다.아들에게 고할 때는 ‘슬픈 생각이 연달아서 마음이 불타는 듯하다[悲念相屬心焉如燬].’고 하고, 아우에게는 ‘비통이 어지럽게 이르러 정을 어찌 안정시킬 수 있겠는가[悲痛猥至情何可處].’라고 하고, 형에게는 ‘비통이 그침이 없어 지극한 정을 어찌하겠습니까[悲痛無已至情如何].’라고 하며, 아내에게는 ‘슬픔과 쓰라림을 스스로 견디지 못하겠습니다[悲悼酸苦不自勝堪].’라고 한다. 아내 이하에게는 ‘근이(謹以)’를 ‘자이(玆以)’라고 한다. 방친의 경우에는 슬피 올린다는 ‘애천(哀薦)’으로 이것을 올린다는 ‘천차(薦此)’로 바꾸고, 아내 이하에게는 이것을 차렸다는 ‘진차(陳此)’로 고쳐 쓴다. ‘협사(祫事)’라는 말은 ‘이제부터 조상께 합하여 제사를 모신다.’는 뜻이다.독축을 마치면 축관은 물러나 제자리로 돌아오고 참사자들은 모두 일어선다. 주인은 곡을 하면서 재배한다. 초헌에서 올렸던 술은 퇴주한다.7) 아헌아헌(亞獻)이란 제사에서 두 번째 올리는 잔이다. 아헌은 반드시 주부가 하도록 되어 있으나 없을 경우 형제 중에서 한다. 헌작방법은 초헌과 같이 하지만 여성이기 때문에 절은 4번 한다.8) 종헌종헌(終獻)이란 제사에서 세 번째 올리는 잔이다. 주로 친척이나 빈객 중에서 한다. 여자도 가능하다. 초헌이나 아헌과 달리 헌작 후에 퇴주를 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9) 유식유식(侑食)이란 식사를 권유하는 절차이다. 종헌을 마치면 집사자가 주전자를 들고 종헌에서 좨주(祭酒, 헌작을 할 때 술을 모사에 세 번으로 나누어 조금씩 붓는 일)로 차지 않은 술잔에 술을 가득 채운다. 이를 첨작(添酌)이라고 한다. 집사자가 주전자를 원래의 장소에 돌려놓는다. 메그릇에 숟가락을 꽂는데, 자루를 서쪽으로 가게하고 숟가락 바닥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젓가락은 시접(匙楪)에 가지런히 놓거나 떡이나 적(炙) 위에 올려놓기도 한다.10) 합문합문(闔門)이란 신이 식사를 하도록 기다리는 절차이다. 주인 이하 모두가 문밖으로 나가면 축관이 문을 닫는다. 시간은 식간(食間)이라고 하는데, 한 번 밥을 먹는 시간인 일식(一食) 정도라고 한다. 한 번 밥을 먹는 시간이란 숟가락을 9번 뜰 수 있는 시간으로 이를 일식구반(一食舊班)이라고 한다.11) 계문계문(啓門)이란 합문을 마치고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이다. 식가가 끝날 시간을 기다려 축관이 문 앞으로 가서 북향하여 서서 ‘어음’ 하고 헛기침을 세 번하고[噫歆三] 문을 연다. 문이 열리면 주인 이하가 들어가 각자 자리로 간다. 집사자가 국그릇의 국을 내리고 물을 올리는 진다(進茶)를 한다. 집안에 따라 이를 헌다(獻茶)라고도 한다. 진다를 하면 진다한 물에 밥을 3숟가락 마는 점다(點茶)를 하는데, 숭늉을 상징한다. 이때 숟가락은 숭늉그릇에 걸쳐 놓는다. 집안에 따라 국그릇 자체를 바꾸어서 물을 올리기도 하지만 국그릇을 바꾸지 않고 물을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축관이 주인의 오른쪽에 서서 서향하고, ‘이성(利成)’이라고 고한다. 제사를 마쳤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이다. 이후 축관은 신주를 주독에 넣어 원래의 자리에 옮겨 모신다. 주인 이하 참사자가 곡을 하면서 재배한다. 이른바 사신례(辭神禮)다. 상주와 참사자가 모두 나가면 철상한다.12) 매혼백

초우제를 지내고 혼백을 묻는 절차, 매혼백매혼백(埋魂帛)이란 초우제를 지내고 나서 혼백을 묻는다는 뜻이다. 초우제를 마치면 축관이 신주의 뒤쪽 상자에 넣어 모셨던 혼백을 깨끗한 곳을 가려 묻는다. 이미 혼백의 혼령이 신주로 전이되었음을 나타낸다. 관행에서는 삼우제를 지내고 산소에 성묘를 할 때 행하기도 한다.13) 재우

초우를 지낸 후 유일에 두 번째로 지내는 우제, 재우재우(再虞)란 초우를 지낸 후 유일(柔日)을 만나 두 번째로 지내는 우제이다. 유일이란 날짜의 천간이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에 해당하는 날을 말한다. 유일이라 함은 서수의 날로서 음을 의미한다. 재우는 음수이기 때문에 유일에 지내는 것이다.재우제는 초우제와 같이 하나의 완전한 제사절차로 지낸다. 재우제의 절차는 초우와 같다. 단지 축문에서 ‘엄급초우(奄及初虞)’를 ‘엄급재우(奄及再虞)’로 고치고, ‘애천협사(哀薦祫祀)’를 ‘애천우사(哀薦虞事)’로 바꾼다. 만약 길이 멀어서 중간에서 유숙할 경우에는 머무르는 곳에서 재우제를 지낸다.14) 삼우

재우를 지낸 후 강일에 세 번째로 지내는 우제, 삼우삼우(三虞)란 재우를 지낸 후 강일(剛日)을 만나 세 번째 지내는 우제이다. 강일이란 날짜의 천간이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에 해당하는 날을 말한다. 강일이란 기수의 날로서 양을 의미한다. 삼우는 양수이므로 강일에 지내는 것이다.삼우제는 재우제와 같이 하나의 완전한 제사절차로 지낸다. 삼우제의 절차는 재우제와 같으나 축문의 내용이 바뀐다. ‘엄급재우(奄及再虞)’를 ‘엄급삼우(奄及三虞)’로 고치고, ‘애천우사(哀薦虞事)’를 일이 이루어졌다는 뜻의 ‘애천성사(哀薦成事)’로 바꾼다. 만약 길이 멀어서 중간에서 유숙할 경우에도 삼우제를 지내지 말고 반드시 집에 도착해서 삼우제를 지내도록 한다.

예서기록

주자가례

장사지내는 날 정오에 우제를 지낸다. 묘소가 먼 경우에는 이 날을 넘기지만 않으면 된다. 집과의 거리가 하룻밤 이상 묵어야 할 경우라면 초우는 머무는 관사에서 시행한다. 정현이 말하였다. “골육은 흙으로 돌아가고 혼기는 가지 않는 곳이 없다. 효자는 혼기가 방황하는 것을 위하여 세 번 제사를 지내 안정시킨다.”【葬之日, 日中而虞. 或墓遠, 則但不出是日可也. 若去家經宿以上, 則初虞於所館行之. 鄭氏曰, “骨肉歸於土, 魂氣則無所不之. 孝子爲其彷徨, 三祭以安之.”】 1. 주인 이하가 모두 목욕을 한다.【主人以下皆沐浴】 이미 날이 저물어 겨를이 없으면 곧 간단하게 몸을 씻어도 괜찮다.【或已晚不暇, 即略自澡潔可也.】 2. 집사자가 제기를 진설하고 제수를 갖춘다.【執事者陳器, 具饌】 세숫대야와 수건을 2개씩 서쪽 계단의 서쪽에 놓는데 남쪽을 윗자리로 한다. 동쪽의 세숫대야에는 대가 있고 수건에는 걸이가 있으며, 서쪽의 것에는 없다. 무릇 상례의 경우는 모두 이에 준한다. 술병과 걸이 1개는 영좌의 동남쪽에 두고 탁자를 그 동쪽에 두어 주전자와 잔대, 잔을 그 위에 진설한다. 화로와 탕병을 영좌의 서남쪽에 놓고 탁자를 그 서쪽에 놓아 축판을 그 위에 놓는다. 채소와 과일, 잔대와 잔을 영좌의 앞 탁자 위에 놓는다. 수저는 안쪽 줄에서 중간으로 가게하고 술잔은 그 서쪽에 둔다. 식초접시는 그 동쪽에 두고 과일은 그 바깥에 둔다. 향로에 불을 피우고 모를 묶고 모래를 모아서 찬물 갖추기를 조전 때와 같게 하여 당문 밖 동쪽에 진설한다.【盥盆帨巾各二於西階西東, 南上. 東盆有臺·巾有架, 西者無之. 凡喪禮皆放此. 酒瓶並架一於靈座東南, 置卓子於其東, 設注子及盤盞於其上, 火爐湯瓶於靈座西南, 置卓子於其西, 設祝版於其上, 設蔬果盤盞於靈座前卓上, 七筯居內當中, 酒盞在其西, 醋楪居其東, 果居外, 蔬居果內, 實酒於瓶, 設香桉於堂中, 炷火於香爐, 束茅聚沙於香案前. 具饌如朝奠, 陳於堂門外之東.】 3. 축이 신주를 영좌에 내어 놓으면 주인 이하는 모두 들어가 곡을 한다.【祝出神主於座, 主人以下皆入哭】 주인 및 형제는 방밖에 지팡이를 기대 놓고 제사에 참여한 사람들과 함께 모두 들어가 영좌의 앞에서 곡을 한다. 그 자리는 모두 북쪽을 향하여 복의 경중에 따라 열을 짓는데, 무거운 복을 하는 사람은 앞에 자리하고, 가벼운 복을 하는 사람은 뒤에 자리하며, 존장은 앉고 비유는 선다. 남자들은 동쪽에 자리하는데 서쪽을 윗자리로 하고, 부인들은 서쪽에 자리하는데 동쪽을 윗자리로 한다. 각각의 항렬은 장유를 기준으로 순서를 정한다. 시자는 뒤에 있는다.【主人及兄弟倚杖於室外, 及與祭者皆入哭於靈座前. 其位皆北面, 以服爲列, 重者居前, 輕者居後, 尊長坐, 卑幼立, 丈夫處東, 西上, 婦人處西, 東上. 逐行各以長幼爲序. 侍者在後.】 4. 강신을 한다.【降神】 축이 곡하는 것을 그치게 한다. 주인은 서계로 내려와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은 후 영좌 앞으로 나아가 분향하고 재배한다. 집사자들도 모두 손을 씻고 닦는다. 한 사람은 술병을 열어 주전자에 채운 다음 서쪽을 향해 꿇어 앉아 주전자를 주인에게 준다. 주인이 꿇어앉아 받는다. 한 사람이 탁자 위의 잔대와 잔을 받들어 동쪽을 향하여 주인의 왼쪽에 꿇어앉는다. 주인이 잔에 술을 따르고 주전자를 집사자에게 준 다음,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모(茅) 위에 부은 뒤 잔대와 잔을 집사자에게 주고 몸을 굽혀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난 뒤 재배하고 제자리로 돌아간다.【祝止哭者. 主人降自西階, 盥手帨手, 詣靈座前, 焚香, 再拜. 執事者皆盥帨. 一人開酒實於注, 西面跪, 以注授主人, 主人跪受, 一人奉卓上盤盞, 東面跪於主人之左. 主人斟酒於盞, 以注授執事者, 左手取盤盞, 右手執盞, 酹之茅上, 以盤盞授執事者, 俛伏興, 少退, 再拜, 複位.】 5. 축이 찬을 올린다.【祝進饌】 집사자가 돕는데 진설하는 순서는 조전 때와 같다.【執事者佐之, 其設之敘如朝奠.】 6. 초헌을 한다.【初獻】 주인이 주전자가 놓인 탁자 앞에 나아가 주전자를 잡고 북쪽을 향해 선다. 집사자 한 사람이 영좌 앞에 있던 잔대와 잔을 잡고 주인의 왼쪽에 선다. 주인이 술을 따른 뒤 주전자를 탁자위로 돌려놓는다. 집사자들과 함께 영좌의 앞으로 나아가 북쪽을 향하여 선다. 주인이 꿇어앉으면 집사자들도 꿇어 앉아 잔대와 잔을 드린다. 주인이 잔을 받아 모사 위에 세 번 제(祭)하고 구부리고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집사자가 잔을 받아 들고 영좌 앞으로 나아가 본래의 자리에 놓는다. 축이 축판을 잡고 주인의 오른쪽으로 나와 서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읽는데, 앞의 경우와 같다. 다만 ‘일월이 머물지 않아 어느덧 초우 때가 되었습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 저녁 늦게 잘 때까지 애모하는 마음으로 편안치 못하였습니다. 삼가 결생(潔牲)과 유모(柔毛), 자성(粢盛)과 예제(醴齊)를 가지고 슬프게 협사를 올리니 흠향하소서’라고 한다. 축이 일어나면 주인은 곡을 하고 재배를 한 뒤 제자리로 돌아가 곡을 그친다. 희생에 돼지를 쓰면 ‘강렵’이라고 하고, 희생을 쓰지 않으면 ‘청작’, ‘서수’라고 한다. 협은 합한다는 뜻으로 선조에게 합하고자 하는 것이다.【主人進詣注子卓前, 執注北向立. 執事者一人取靈座前盤盞立於主人之左. 主人斟酒, 反注於卓子上. 與執事者俱詣靈座前, 北向立. 主人跪, 執事者亦跪, 進盤盞, 主人受盞, 三祭於茅束上, 俛伏興. 執事者受盞, 奉詣靈座前, 奠於故處. 祝執版出於主人之右, 西向跪讀之, 前同. 但云“日月不居, 奄及初虞, 夙興夜處, 哀慕不寧, 謹以潔牲柔毛, 粢盛醴齊, 哀薦祫事, 尚饗.” 祝興, 主人哭, 再拜, 複位, 哭止. 牲用豕則曰‘剛鬛’, 不用牲則曰‘清酌’, ‘庻羞.’ 袷合也, 欲其合於先祖也.】 7. 아헌을 한다.【亞獻】 주부가 한다. 예식은 초헌과 같지만 축을 읽지 않으며 사배를 한다.【主婦爲之. 禮如初, 但不讀祝, 四拜.】 8. 종헌을 한다.【終獻】 친척이나 빈객 가운데 한 사람이나 아들 또는 딸이 한다. 예식은 아헌과 같다.【親賓一人或男或女爲之. 禮如亞獻.】 9. 음식을 권한다.【侑食】 집사자가 주전자를 잡고 나아가 첨잔을 한다.【執事者執注就, 添盞中酒.】 10. 주인 이하가 모두 나가면 축이 문을 닫는다.【主人以下皆出, 祝闔門】 주인은 문의 동쪽에 서는데 서쪽을 향한다. 비유의 장부는 그 뒤에 서는데 여러 줄로 북쪽을 윗자리로 한다. 주부는 문의 서쪽에 서는데 동쪽을 향한다. 비유의 부녀 또한 그와 같다. 존장은 다른 곳에서 쉬는데 식사하는 시간만큼 한다.【主人立於門東, 西向. 卑幼丈夫在其後, 重行北上. 主婦立於門西, 東向. 卑幼婦女亦如之. 尊長休於它所, 如食間.】 11. 축이 문을 열면 주인 이하가 들어가 곡을 하고 사신(辭神)한다.【祝啟門, 主人以下入哭辭神】 축이 나아가 문에 이르러 북쪽을 향하여 기침소리를 세 번 내고 문을 열겠다고 고한 뒤 문을 연다. 주인 이하는 들어가 자리로 나아간다. 집사자가 차를 올린다. 축이 주인의 오른쪽에 서서 서쪽을 향하여 예가 끝났음을 고한다. 신주를 거두어 갑에 넣고 원래의 자리에 놓아둔다. 주인 이하는 곡을 하면서 재배를 하고 슬픔을 다한 뒤에 그치고는 문을 나가 머무는 곳으로 간다. 집사자가 치운다.【祝進當門, 北向噫歆, 告啟門三, 乃啟門. 主人以下入就位. 執事者點茶. 祝立於主人之右, 西向, 告利成. 歛主, 匣之, 置故處. 主人以下哭, 再拜, 盡哀止, 出就次. 執事者徹.】 12. 축이 혼백을 묻는다.【祝埋魂帛】 축이 혼백을 가지고 집사자를 거느리고 외지고 깨끗한 곳에 묻는다.【祝取魂帛, 帥執事者埋於屏處潔地.】 13. 조석전을 그친다.【罷朝夕奠】 조석곡을 한다. 슬픔이 북받치면 처음처럼 곡을 한다.【朝夕哭. 哀至哭如初.】 14. 유일(柔日)이 되면 두 번째 우제를 지낸다.【遇柔日再虞】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가 유일이 된다. 그 예는 첫 번째 우제와 같으나, 하루 전에 제기를 진설하고 찬을 갖춘다. 다음날 일찍 일어나 채소와 과일, 술과 찬을 진설하고, 동틀 무렵 제사를 지낸다. 축이 신주를 영좌로 내온다. 축사는 ‘초우’를 ‘재우’로, ‘협사’를 ‘우사’로 하는 것만 차이가 있다. 묘가 멀어 도중에 유일을 만나면 또한 머무는 곳에서 행한다.【乙丁巳辛癸爲柔日, 其禮如初虞, 惟前期一日陳器具饌. 厥明夙興, 設蔬果酒饌, 質明行事. 祝出神主於座. 祝辭改初虞爲再虞, 祫事爲虞事爲異. 若墓遠途中遇柔日, 則亦於所館行之.】 15. 강일이 되면 세 번째 우제를 지낸다.【遇剛日三虞】 갑(甲), 병(丙), 술(戌), 경(庚), 임(壬)이 강일이 된다. 그 예는 두 번째 우제와 같다. 다만 ‘재우(再虞)’를 ‘삼우(三虞)’로 ‘우사(虞事)’을 ‘성사(成事)’로 고친다. 묘가 멀어 또한 도중에 강일을 만나면 미루어두었다가 반드시 집에 이르러서야 이 제사를 행할 수 있다.【甲丙戊庚壬爲剛日, 其禮如再虞. 惟改再虞爲三虞, 虞事爲成事. 若墓遠亦途中遇剛日, 且闕之, 須至家乃可行此祭.】


상례비요

[우제(虞祭)의 준비물【虞祭之具】] 세숫대야[盥盆] : 2개. 1개는 받침대를 갖추고, 1개는 받침대가 없다.【盥盆: 二. 一具臺, 一無臺.】 수건[帨巾] : 2개. 1개는 걸이를 갖추고, 1개는 걸이가 없다.【帨巾: 二. 一具架, 一無架.】 탁자(卓子) : 2개. 1개는 주전자 및 잔대와 술잔을 올려놓는 것이고, 1개는 축판을 올려놓는 것이다.【卓子: 二. 一設注及盤盞者, 一置祝板者.】 큰 상[大床] : 1개. 찬품을 차리기 위한 것이다.【大床: 一. 所以陳饌者.】 술병[酒甁] : 1개. 병걸이도 함께 갖춘다.【酒甁: 一. 幷架.】 술주전자[酒注] : 1개.【酒注: 一.】 술잔[酒盞] : 2개. 잔대를 갖춘다.【酒盞: 二. 具盤.】 화로(火爐) : 1개. 부젓가락을 갖춘다.【火爐: 一. 具筯.】 탕그릇[湯甁]【湯甁】 향합(香盒)【香盒】 향로 : 앞에 보인다.【香爐: 見上.】 향안(香案)【香案】 초[燭] : 1쌍. 촛대를 갖춘다.【燭: 一雙. 具臺.】 축판(祝板)【祝板】 과실(果實)【果】 소채(蔬菜) : 살피건대, 『예기』 「교특생(郊特牲)」에 “정(鼎)과 조(俎)는 홀수이고 변(籩)과 두(豆)가 짝수인 것은 음양의 뜻이다.”라고 하였고, (주) 진씨(陳氏)는 “정과 조에 담는 것은 하늘에서 나는 것을 위주로 하는데 하늘에서 나는 것은 양(陽)에 속하기 때문에 그 숫자를 홀수로 하고, 변과 두에 담는 것은 땅에서 나는 것을 주로 하는데 땅에서 나는 것은 음(陰)에 속하기 때문에 그 숫자를 짝수로 한다.”라고 하였다. 이에 근거하면 때 어육(魚肉)은 홀수로 써야하고 과실과 소채는 짝수로 써야 한다.【蔬菜: 按, 「郊特牲」, “鼎俎奇而邊頭偶, 陰陽之義也.” (註) 陳氏曰, “鼎俎之實, 以天産爲主, 而天産陽屬, 故其數奇, 邊頭之實, 以地産爲主, 而地産陰屬, 故其數偶.” 據此魚肉當用奇數, 果蔬當用偶數.】 포(脯)【脯】 해(醢)【醢】 수저[匙箸]【匙筯】 육물(肉物)【肉】 어물(魚物)【魚】 면식(麵食)【麵食】 미식(米食) : 이상은 각각 1그릇[楪]씩이다.【米食: 以上各一楪.】 국[羹]【羹】 밥[飯] : 1그릇[椀]씩이다. 생각건대, 『가례』에는 찬품을 차리면서 밥과 국을 말하지 않았지만, 그릇을 진설할 때 이미 수저가 있고, 또 축문에 ‘자성(粢盛)’이라는 문구가 있으며, 졸곡 때 찬을 올리면서 주인은 국을 올리고 주부는 밥을 올리기를 우제 때 진설한 것처럼 하도록 되어 있으니, 밥과 국이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飯: 各一椀. 按, 『家禮』具饌, 雖不言飯羹, 然陳器旣有匙筯, 又祝曰粢盛, 又卒哭進饌, 主人奉羹, 主婦奉飯, 如虞祭之設, 則有飯羹, 無疑矣.】 적간(炙肝)【炙肝】 초(醋)【醋】 청장(淸醬)【淸醬】 모사(茅沙) : 자른 띠풀 1줌가량. 길이는 8치이다.【茅沙: 截茅一搤許. 長八寸.】 1. 『가례』 1과 동일 2. 『가례』 2와 동일 3. 『가례』 3과 동일 4. 『가례』 4와 동일 5. 『가례』 5와 동일 6. 『가례』 6과 동일 7. 『가례』 7과 동일 8. 『가례』 8과 동일 9. 『가례』 9와 동일 10. 『가례』 10과 동일 11. 『가례』 11과 동일 12. 『가례』 12와 동일 13. 『가례』 13과 동일 14. 『가례』 14와 동일 15. 『가례』 15와 동일


사의

1. 장사지내는 날 정오에 우제를 지낸다. 묘소가 먼 경우에는 이 날을 넘기지만 않으면 된다. 집과의 거리가 하룻밤 이상 묵어야 할 경우라면 초우는 머무는 관사에서 시행한다.(『가례』의 주)【葬之日, 日中而虞. 或墓遠, 則但不出是日可也. 若去家經宿以上, 則初虞於所館行之(『家禮』註』】 2. 우제(虞祭)에는 안석[几]과 자리[筵]를 마련한다.(『예기』 「단궁」)【虞而有几筵(「檀弓」)】 3. 『가례』 1과 동일 4. 『가례』 2와 동일 5. 집사자는 채소와 과일, 잔대와 잔을 영좌의 앞 탁자 위에 놓는다.(『가례』 2의 주)【執事者設蔬果盤盞於靈座前卓上(『家禮』註)】 6. 축(祝)이 신주독[主櫝]을 열면, 주인 이하의 사람들은 모두 들어가 곡을 한다.【祝啓主櫝, 主人以下皆入哭.】 7. 『가례』 4와 동일 8. 『가례』 5와 동일 9. 『가례』 6과 동일 10. 『가례』 7과 동일 11. 『가례』 8과 동일 12. 『가례』 9와 동일 13. 『가례』 10과 동일 14. 문을 연다.(『가례』 11의 변형)【啓門(『家禮』)】 15. 차를 올린다.(『가례』 11의 주)【進茶(『家禮』)】 16. 예가 끝났음을 고한다.(『가례』 11의 주)【告利成(『家禮』)】 17. 신에게 하직한다.(『가례』 11의 변형)【辭神(『가례』)】 18. 『가례』 13과 동일 19. 『가례』 14와 동일 20. 『가례』 15와 동일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