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제례>불천위제>동영상으로 보는 불천위제>초헌(첫 번째 잔 올리기)
URL

불천위제

동영상으로 보는 불천위제
초헌(첫 번째 잔 올리기)
초헌에서 좌집사로부터 술잔을 받는 주인(안동 이우당 불천위제)
초헌에서 좌집사로부터 술잔을 받는 주인(안동 이우당 불천위제)
절차설명

첫 번째로 잔을 올리는 절차, 초헌초헌(初獻)이란 불천위제에서 주인인 초헌관이 첫 번째로 올리는 잔이다. 초헌은 제사의 대상이 되는 조상의 직계 장자(長子) 혹은 장손(長孫)이 올리는 것으로 정해져 있어 바꿀 수가 없다. 그러나 상중일 경우 소상을 지내지 않았을 때에는 복이 가벼운 사람이 대신 초헌을 하도록 한다. 초헌관은 제사를 주관하는 제주(祭主)인 주인(主人)이다.

가례에서 규정한 주인이 직접 잔을 올리는 방식초헌이란 잔을 올리는 일로 그 방법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가례(家禮)』에서 규정한 방식으로 주인이 직접 잔을 받아 제사상에 올리는 방식이다. 주인이 직접 상 위의 잔을 내려 향탁 앞에서 잔을 받들어 동향하면 우집사가 주전자를 들어 술을 따르고나서 주인이 직접 원래의 자리에 잔을 올린다. 이어서 주인이 향탁 앞에 북향하여 서면 좌집사가 다시 그 잔을 내려 동향하여 주인에게 준다. 주인은 잔을 받아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茅沙)에 3번으로 나누어 조금씩 붓는 좨주(祭酒)를 하고, 다시 좌집사에게 잔을 주면 좌집사가 이를 받아 원래의 자리에 놓는다. 이 방법은 주인이 직접 잔을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국조오례의에서 규정한 집사자가 대신 잔을 올리는 방식잔을 올리는 또 다른 방법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방법으로 『가례』보다는 좀 더 간단하다. 주인이 향탁 앞에 꿇어앉으면 좌집사가 잔을 내려 주인에게 주고, 우집사가 술잔에 술을 붓는다. 이어 주인이 모사에 좨주를 한 후 잔과 잔받침을 좌집사에게 주면 좌집사는 이를 받아 원래의 자리에 모신다. 이 방법은 주인은 앉아 있고, 집사자가 대신 잔을 올린다는 것이 특징이다. 안동지역에서는 초헌에서 좨주(祭酒)를 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메의 뚜껑을 열고 젓가락을 바로 하는 계반개와 정저잔을 올리고 나면 좌우 집사자가 메의 뚜껑을 열고 젓가락을 바로 한다. 이를 계반개(啓飯蓋), 정저(正箸)라고 한다. 집안에 따라 계반개를 하지 않고, 젓가락도 바로 하지 않는 집안도 있다.

불천위제를 지내는 연유를 고하는 절차, 독축이어 불천위의 기일이 되어 제사를 지내는 연유를 고하는 독축(讀祝)을 한다. 헌작을 하고 나서 주인 이하 모든 참사자가 꿇어앉으면 축관(祝官)이 축판을 들고 앞으로 나와 주인의 왼쪽에서 동향하여 꿇어앉는다. 축관은 준비된 축판을 잡고 축문을 읽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維年號ㅇ年干支ㅇ月干支朔ㅇ日干支 孝子ㅇㅇ   敢昭告于  顯考學生(또는 處士)府君  顯妣孺人某封某氏 歲序遷易  顯考(또는 顯妣)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尙饗     유연호ㅇ년간지ㅇ월간지삭ㅇ일간지 효자ㅇㅇ   감소고우  현고학생(또는 처사)부군  현비유인모봉모씨 세서천역  현고(또는 현비) 휘일부임 추원감시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상향내용은 “모년 모월 모일 효자 ㅇㅇㅇ은 아버님 어머님에게 삼가 고하옵니다(감히 밝혀 아뢰옵니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아버님(또는 어머님) 돌아가신 날을 다시 맞게 되오니 하늘과 같이 크고 넓으신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제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라는 의미이다.독축을 마치면 축관이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간다. 주인은 한 발 물러나 재배하고 제자리로 돌아간다. 참사자들도 모두 일어나 제자리에 선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