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관례 절차

계레절차
가계례
절차설명

장계자에게 쪽을 찌어 비녀를 꽂고, 족두리를 씌워주는 절차인 가계례가계례(加笄禮)란 빈(賓)이 장계자(將笄者)에게 쪽을 찌어 비녀를 꽂고, 족두리를 씌워주는 의례이다. 『가례의절(家禮儀節)』에 의하면 장계자가 방에서 나오고, 시자(侍者)는 자리 왼쪽에 빗을 놓는다. 빈이 장계자를 이끌어 자리에 나아가 남향하게 한다. 시자도 같은 방향으로 꿇어 앉아 장계자의 머리를 풀어 빗질하고 머리카락을 모아 쪽을 찐다. 빈이 층계를 내려가면 주부(主婦)도 내려간다. 빈이 손을 씻으면 주부가 빈에게 먼저 올라가기를 청한다. 시자가 족두리와 비녀를 담은 쟁반을 빈에게 드리면 빈은 이를 들어 장계자에게 가서 축사를 읽는다. 축사는 관례(冠禮)의 시가례(始加禮) 때 사용한 것과 같이 사용한다. 내용은 “좋은 달 좋은 날에 처음으로 원복(元服, 관)을 씌웠으니, 너의 어린 생각을 버리고 너의 어른스러운 덕을 따르면 오래 살고, 상서로우며 네 복을 더욱 크게 하리라”(吉月令日始加元服棄爾幼志順爾成德壽考維祺以介景福)이다. 축사를 마치면 빈이 무릎을 꿇고 쪽에 비녀를 꽂고 족두리 혹은 화관을 씌워 주고 제자리로 돌아간다. 관을 씌울 때는 머리 위에 직접 씌워서는 안 되고, 고례(古禮)에 따라 사(纚, 머리싸개)로 머리카락을 싼 후에 관을 씌운다. 계자는 일어나 방으로 들어가 배자(背子)를 입고 나온다. 이때 시자는 빗을 치운다.

예서기록

주자가례

8. 빈(賓)이 장차 계례(笄禮)를 할 사람에게 관계(冠笄)를 씌워주면, 계례한 사람은 방으로 가서 배자(背子)를 입고 나온다.【賓爲將笄者加冠笄, 適房服背子】 대략 관례 때와 같지만 축문은 시가(始加) 때의 축사를 사용하고, 할 수 없으면 생략한다.【略如冠禮, 但祝用‘始加’之辭. 不能則省.】


사례편람

8. 빈(賓)이 장차 계례(笄禮)를 할 사람에게 관계(冠笄)를 씌워주면, 계례한 사람은 방으로 가서 배자(背子)를 입고 나온다.【賓爲將笄者加冠笄, 適房服背子】(『가례』 8과 동일) 〚『가례의절(家禮儀節)』 “장차 비녀를 꽂을 사람[將笄者]이 방에서 나온다. 시자(侍者)가 빗을 자리[席]의 왼쪽에 놓는다. 빈이 손으로 인도하면 장계자(將笄者)가 자리[席]로 나아가 서쪽을 향하여 무릎을 꿇는다. 시자가 그 방향대로 꿇어 앉아, 머리를 풀어 빗어주고 머리를 합하여 쪽을 틀어준다. 빈이 계단을 내려가고 주부 또한 내려간다. 씻기를 마치면 주부가 빈에게 처음자리로 돌아가기를 청한다. 시자(侍者)가 관계(冠笄)를 담은 소반을 올리면 빈이 장계자 앞으로 나아가 축사를 한다. 무릎을 꿇고 관을 씌워주고 비녀를 꽂아준 뒤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간다. 비녀를 꽂은 사람[笄者]은 일어나 방으로 가 옷을 갈아입는다. 시자가 빗을 치운다. 계자가 상의(上衣)를 입고 방을 나온다.〛【〚『儀節』“將笄者出房. 侍者奠櫛席左. 賓以手導將笄者卽席, 西向跪. 侍者如其向跪, 解髮梳之, 爲之合髮. 賓降階, 主婦亦降. 洗訖, 主婦請賓復初位. 侍者以冠笄盤進, 賓詣將笄者前, 祝曰[云云]. 跪加冠笄, 起復位. 笄者興, 適房易服. 徹櫛. 笄者服上衣, 出房.”〛】 도암의 입장[按] : 이미 ‘관(冠)’이라고 하였으니 머리 위에 관을 씌워서는 안 된다. 고례(古禮)에 따라 머리싸개[纚]로 머리를 감싸 관을 받치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按: 旣有冠字, 則不可髮上加冠. 依古禮, 用纚包髮以承冠似當.】 〔축사의 형식【祝辭式】〕 관례에서 첫 번째 관을 씌울 때의 축사를 사용한다. 초례(醮禮)와 자사(字辭) 또한 관례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모사(髦士)’는 ‘여사(女史)’로 고친다.【用冠禮始加祝. 醮與字辭亦同冠禮, 但字辭改‘髦士’爲‘女士’.】


사의절요

8. 빈(賓)이 장차 계례(笄禮)를 할 사람에게 관계(冠笄)를 씌워주면, 계례한 사람은 방으로 가서 배자(背子)를 입고 나온다.【賓爲將笄者加冠笄, 適房服背子】(『가례』 8과 동일) 대략 관례 때와 같지만 축문은 시가(始加) 때의 축사를 사용하고, 할 수 없으면 생략한다.【略如冠禮, 但祝用‘始加’之辭. 不能則省.】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