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제례란

제례도구
소품
병풍
바람을 막거나 장식용으로 방 안에 둘러치는 가리개인 병풍(안동 지촌종택 기제사)
바람을 막거나 장식용으로 방 안에 둘러치는 가리개인 병풍(안동 지촌종택 기제사)

바람을 막거나 장식용으로 방 안에 둘러치는 가리개, 병풍병풍(屛風)이란 바람을 막거나 장식용으로 방 안에 둘러치는 가리개이다. 원래의 기능은 바람을 막는 것이었다. 제사를 지낼 때는 교의(交椅)와 제사상의 뒤쪽을 가리는 가리개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제사 절차에서 합문(闔門)을 할 때 제사상의 앞쪽을 가리는 데에도 사용된다. 병풍은 접거나 펼 수 있게 만들어 필요할 때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어서 보관하기에 편리한 가리개이다. 현대에는 그림이나 자수나 글씨 등을 감상하기 위한 장식용으로도 많이 사용된다.병풍은 중국 한(漢)나라 때 만들기 시작하여 당(唐)나라 때에 널리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신라와 고려 시대에 이미 사용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때부터 사대부의 집안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나무틀에 종이를 발라 경첩으로 연결하여 만드는 병풍병풍은 직사각형으로 짠 나무틀에 중간 지지대를 촘촘하게 대고 종이를 바른다. 그림이나 글씨, 자수 등의 작품을 종이나 비단, 모시 등에 붙인다. 이렇게 붙여 한 폭씩 만든 다음 각 폭을 차례에 맞춰 경첩으로 연결하여 병풍을 완성한다. 병풍은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짝수 폭으로 만들며 용도에 따라 높낮이와 폭의 수가 달라진다. 2폭에서 12폭까지 짝수로 만드나 12폭의 경우는 사용하기 편하도록 6폭씩 둘로 나누어 만들기도 한다. 한 폭은 36∼45㎝이며 높이는 60∼180㎝ 정도가 일반적이며 그보다 큰 것도 있다.

제사에 쓰이는 소병이나 글씨병풍병풍의 종류는 그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첫째는 주로 안방에서 쓰는 것으로 새와 꽃 그림으로 장식한 화조병풍(花鳥屛風)이다. 둘째는 오래 살고 복 많이 받기를 기원하기 위한 병풍으로 수복병풍(壽福屛風)이다. 수복병풍으로는 한 틀의 병풍에 똑같은 글씨를 서체를 달리하여 쓴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 금석명기(金石銘器)를 수놓은 백수전도(百壽全圖), 십장생을 각 폭에 그린 십장생도(十長生圖), 청동으로 만든 솥이나 종을 검정 비단에 금실이나 은실로 수놓은 종정도(董鼎圖) 등이 있다. 셋째는 부귀와 영화를 상징하는 부귀다남병풍(富貴多男屛風)이다. 그 중 모란병풍은 부귀화라 하여 혼례나 잔치에 사용되었다. 포도병풍은 포도송이가 풍성하여 다산의 뜻을 가진다. 넷째는 100명이나 되는 아이들이 놀고 있는 그림을 그린 백자병풍(百子屛風) 혹은 백동자도병풍(百童子圖屛風)이다. 다섯째는 다양한 인장을 찍어 만든 도장병풍이며, 여섯째는 해와 달에 십장생문을 곁들여 당채(唐彩)로 그린 것으로 궁중에서 어좌인 용상 뒤에 펴놓는 일월병(日月屛)이다. 일곱째는 신선을 그린 신선도병풍이며, 여덟째는 명언이나 시구, 명필가의 글씨를 붙인 글씨병풍이다. 아홉째는 병풍에 흰 종이만을 바른 병풍으로 소병(素屛) 혹은 제병(祭屛)이라고 한다.이 중에서 제사에 쓰이는 병풍은 소병이나 글씨병풍이다. 집안에 따라서는 선조 대대의 글씨를 모아 붙인 병풍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불천위제와 같은 큰제사 때만 사용하는 대기병(大忌屛)도 있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