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제례란

제례절차
송신
수조
제사가 무사히 마무리되었음을 아뢰는 이성(봉화 충재종가)
제사가 무사히 마무리되었음을 아뢰는 이성(봉화 충재종가)
절차설명

제사 지낸 고기를 받는 절차, 수조수조(受胙)란 제사 지낸 고기를 받는 절차이다. 음복을 하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예기(禮記)』의 「제통(祭統)」편에 의하면, “현자가 제사지내면 반드시 그 보답으로 복을 받으니 그것은 세상에서 말하는 복이 아니다. 복은 ‘갖추어지는 것[備]’인데, 갖추어진다는 것은 만사가 순조롭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순조롭지 않은 것이 없는 상태를 ‘갖추어진 것’이라고 한다. 말하자면 안으로 자기에게 지극하게 하고, 밖으로 도리를 따르는 것이다. 충신이 군주를 섬기거나 효자가 어버이를 섬기는 데에도 그 근본은 하나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수조는 제사를 지내 신에게 무언가를 기원하고 그 보답을 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사의 종교적 성격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다.이 절차는 기제사(忌祭祀)ㆍ참례(參禮)ㆍ절사(節祀)와 우제(虞祭)ㆍ졸곡(卒哭)ㆍ연제(練祭)ㆍ상제(祥祭)ㆍ담제(禫祭) 등에는 없는 절차이다. 또한 일반적인 상중(喪中)은 물론 나라의 상례인 국상(國喪) 중에는 행하지 않는다.사시제(四時祭)의 경우, 집사자가 향탁 앞에 자리를 설치하면 주인은 자리에 나아가 북쪽을 향한다. 축관(祝官)이 고조고위(高祖考位) 앞에 나아가 술과 잔과 받침을 들고 주인의 오른쪽에 이른다. 주인이 꿇어앉으면 축관도 꿇어앉는다. 주인이 술잔을 받아 술을 제(祭)하고 술의 맛을 본다.

제사의 종교적 성격이 잘 드러나는 절차, 수조축관이 일어나면 집사자가 동쪽 계단 위의 숟가락과 쟁반을 들어 축관에게 준다. 축관이 수저로 모든 신위의 밥을 조금씩 떠서 쟁반에 받들기를 차례대로 한다. 이때 부위(祔位)에는 하지 않는다. 이를 마치면 주인의 왼쪽에 이르러 동향하여 주인에게 복을 내리는 하사(嘏辭)를 읽는다. “조고(祖考)께서 공축(工祝)에게 명하여 너 효손이 복을 많이 받도록 했노라. 너 효손아, 너로 하여금 하늘에서 녹(祿)을 받아 전답에 농사가 잘 되고 오래 살게 할 터이니, 변함없이 지켜 가라.[祖考命工祝承致多福于汝孝孫來汝孝孫使汝受祿于天宜稼于田眉壽永年勿替引之(조고명공축승지다복우여효손래여효손사여수록우천의가우전미수영년물체인지)]”고 한다.

제사가 무사히 잘 이루어졌음을 아뢰는 절차, 고이성주인이 술을 앞에 놓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재배한다. 다시 꿇어앉아 밥을 받아 맛을 보고 왼쪽 소매에 넣고 소매를 오른손 새끼손가락에 걸어서 잡는다. 왼손으로 술잔을 잡아 술을 다 마신다. 집사자가 오른편에서 잔을 받아 주전자 곁에 두고, 다시 주인의 왼편에 꿇어앉는다. 주인이 소매 속의 밥을 쟁반에 쏟으면 집사자가 받아서 주전자 곁에 놓고 내려간다. 주인이 엎드렸다 일어나 동쪽 계단 위에서 서향하여 선다. 축관이 서쪽 계단에서 동향하여 서서 ‘이성(利成)’이라고 고하고 내려와 자리로 돌아간다. 고이성(告利成)이란 제사가 무사히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아뢰는 것을 말한다.

수저를 거두고 밥의 뚜껑을 덮는 절차, 철시복반축관은 제자리로 돌아 참석한 참사자(參祀者)들과 함께 재배한다. 이는 수조를 위한 절이다. 주인은 절을 하지 않고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가는데 왜냐하면 이미 앞에서 절을 하였기 때문이다.이성을 아뢰고 나면 집사자가 밥의 뚜껑을 덮는다. 이를 합반개(合飯盖)라고 한다. 이어 수저를 내리는데, 낙시저(落匙箸)라고 한다. 혹은 이 둘을 합쳐서 수저를 거두고 밥의 뚜껑을 덮는다는 뜻의 철시복반(撤匙覆飯)이라고도 한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