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제례란

제례도구
의복
복두
복두
복두

조선시대 관례복이나 급제관복으로 사용된 두건, 복두복두(幞頭)는 당나라 이후 관원들이 머리에 쓰는 두건의 일종으로 절상건(切上巾)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복건(幞巾)으로 머리를 싸맨 것을 복두라 하였고, 후주(後周)의 무제(武帝)가 복건으로 머리를 싸맨 것이 시초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진덕여왕 때 김춘추(金春秋)가 당나라에 군사지원을 요청하러 갔을 때 태종에게 의복의 개혁을 청하여 우리 고유의 관모 대신 복두를 일반적으로 착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지봉유설(芝峰類說)』에 의하면 후주(後周)의 무제(武帝) 때 머리를 감싸는 모자라고 하여 복두라 칭하였다고 한다.고려시대에는 왕으로부터 문무백관과 사인(士人)에 이르기까지 복두 사용이 성행했다. 조선시대에는 공복차림이 사라지면서 그 용도가 제한되었고, 관례복(冠禮服)이나 급제관복(及第冠服)으로 쓰였다. 검은 비단으로 만들며 형태는 사모처럼 앞이 두 단으로 층이진 사각형이고 좌우에 돌출된 날개[脚]를 달았는데 수평이거나 밑으로 처지게 만들었다. 복두가 없을 때에는 검은 베로 만들어 유생의 예관으로 쓰던 유건(儒巾)이나 소과(小科)에 뽑힌 사람이 백패의 증서를 받을 때 쓰던 연건(軟巾)을 대용하기도 했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