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제례란

제례도구
의복
심의
심의
심의

유학자들이 연거복으로 입는 평상복, 심의심의(深衣)란 유학자들이 연거복(燕居服; 모든 공직을 떠나 한가로이 사는 사람이 입는 옷)으로 입는 평상복이다. 잿물에 삶아서 두들겨 빤 희고 고운 베로 만들고, 깃ㆍ소맷부리 등 옷의 가장자리에 검은 비단으로 선[緣]을 두른다. 저고리와 치마를 따로 만들어 연결시켜 12폭의 치마가 몸을 휩싸도록 되어 있다. 심의라는 말은 이러한 심원(深遠)한 느낌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심의를 입을 때는 복건(幅巾)을 쓰고, 대대(大帶)를 띠며 검은색 신발인 흑리(黑履)를 신는다.

주자가 유학자의 법복으로 추거하면서 유학자들이 숭상한 예복, 심의기원은 고대 중국에서 비롯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중기 이전에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주자(朱子)가 『가례(家禮)』에서 심의를 유학자의 법복으로 추거하면서 조선시대에 와서는 주로 유학자들이 숭상하였다. 그 뒤 조선시대 전반을 통해 유학자에게 널리 숭상되었고, 관혼상제의 사례(四禮)를 행하는 데 있어서의 예복으로도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신분에 관계없이 널리 입혀져 천자나 제후는 평복으로, 사대부는 조복(朝服)과 제복(祭服) 다음가는 옷으로, 서인(庶人)은 길복(吉服)으로 입었다. 조선시대 많은 유학자들이 심의를 착용한 초상화가 남아 있다.

철학적 의미가 담겨있는 예복, 심의심의의 각 부분의 모양과 형태는 각기 철학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이러한 철학적 의미가 서로 호응하고 조화되어 은연중에 심의를 착용한 사람들의 정신세계까지 정화 및 균제(均齊)시켜 항상 자아를 올바르게 다스렸으면 하는 바람이 내포되어 있다.저고리와 치마를 따로 만드는 것은 우주의 근본이 건곤(乾坤)에 있음을 상징한 것이다. 건은 위에 있고, 곤은 아래에 있어서 건곤은 우주를 형성하는 원리이다. 저고리는 건을, 치마는 곤을 상징한 것이다. 건은 곤을 통섭할 수 있으므로, 이 둘을 이어붙인 것이다. 이러한 우주의 순리는 다시 치마를 12폭으로 마름질함으로써 더욱 심화되는데, 이는 12달에 응하는 것으로 하늘의 순리가 운행되면 1년 4계절이 12달로 구현된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소매의 둥근 모양은 모범인 규(規)에 상응한다. 심의는 입고 걸으며 손을 올려도 의복의 뒤 중심선인 부승(負繩)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는 부승이 다른 것에 의해 흔들리거나 흩어지지 않게 하겠다는 철학적 의미가 담겨 있다. 부승은 곧고 바른 직(直)에 상응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곧고 바른 부승을 등에 짐으로써 그 정(政)이 풀어지는 것을 바로 잡으려 했던 것이다.아랫단은 저울처럼 평평하게 하였는데 이는 뜻과 마음을 평안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옷 모양이 높고 낮음이 없이 고르게 하려는 것이다. 선의 색은 부모와 조부모를 모두 모시고 있는 사람은 오채(五彩)로 꾸며 즐거움을 나타내고, 부모를 모두 모신 사람은 청색으로 하여 공경함을 나타낸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