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제례>기제사>동영상으로 보는 기제사>출주(지방 모시기)
URL

기제사

동영상으로 보는 기제사
출주(지방 모시기)
출주 절차를 위해 사당으로 들어가는 주인(안동 지촌종택 기제사)
출주 절차를 위해 사당으로 들어가는 주인(안동 지촌종택 기제사)
절차설명

제사를 지내는 대상인 조상신을 모시는 절차, 영신신위 모시기는 제사를 지내는 대상인 조상신을 모신다는 뜻이다. 흔히 영신(迎神)이라고도 한다. 지방을 모실 경우에는 지방을 써서 모시는 일을 말한다. 사당의 신주를 모실 경우에는 출주(出主)라는 절차를 진행한다. 제사를 지내기 위해 기물을 준비한 상태에서 지방을 써서 지방함에 넣어 모시거나 교의에 붙여 모시고, 혹은 병풍에 붙여 모시는 일 등 신위를 모시는 모든 절차를 포함한다.

예서기록

가례(家禮)

■ 사당에 나아가 신주를 받들어 나와 정침으로 나아간다. 詣祠堂奉神主出就正寢 녜제의 의례와 같다. 다만 아뢰는 말에 ‘지금 모친모관부군(某親某官府君)’의 돌아가신 날에 감히 신주를 청하여 정침(正寢)에 모셔 놓고 공손히 추모(追慕) 합니다’라고 한다. 나머지는 모두 같다. 如祭禰之儀. 但告辭云, 今以某親某官府君遠諱之辰, 敢請神主, 出就正寢, 恭伸追慕. 餘並同. * 녜제의 ‘사당에 나아가 신주를 받들어 정침으로 나아감’은 정침에서 시제를 지내는 의례와 같다. 如時祭于正寢之儀 • 시제 의례: 주인 이하는 각각 성복하고 손을 씻어 수건으로 닦고 사당 앞에 나간다. 뭇 장부는 차례로 서는데, 날짜를 아뢰는 의식과 같다. 주부는 서쪽 계단 아래에 북향하여 선다. 주인에게 어머니가 계시면 특별히 주부의 앞에 자리하고 여러 백숙모와 고모들이 이어서 선다. 형수와 제수, 자매는 주부의 왼쪽에 자리한다. 그 주모(主母)와 주부(主婦)보다 어른인 사람들 모두 조금 나아가 선다. 자손・부녀・내집사는 주부의 뒤에 여러 줄로 자리하는데 모두 북향하되 동쪽이 위이다. 자리가 정해지면 주인은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홀을 꽂고 분향한다. 홀을 빼어 들고 아뢰기를, “효손 아무개는 지금 중춘의 달에 고조고모관부군(高祖考某官府君)과 고조비모봉모씨(高祖妣某封某氏), 증조고모관부군(曾祖考某官府君), 증조비모봉모씨(曾祖妣某封某氏), 조고모관부군(祖考某官府君), 조비모봉모씨(祖妣某封某氏), 고모관부군(考某官府君), 비모봉모씨(妣某封某氏)께 일이 있어 모친모관부군(某親某官府君)과 모친모봉모씨(某親某封某氏)를 부식(祔食)하고자 감히 신주를 청하여 정침에 내놓고 공손히 술을 올립니다”라고 한다. 아뢰는 말에 중하(仲夏), 중추(仲秋), 중동(仲冬)은 각각 그때를 따른다. 조고(祖考)가 관직이나 봉호, 시호가 없으면 모두 신주에 쓰인 글대로 한다, 부식은 방친으로서 후사가 없는 자와 항렬이 낮거나 어린 자, 먼저 죽은 자로, 없으면 말하지 않는다. 고하기를 마치면 홀을 꽂고 독을 거두어 정위(正位)와 부위(祔位)는 각각 한 상자에 넣고 각각 집사 한 사람이 받들게 한다. 주인은 홀을 빼어 들고 앞으로 인도하고 주부는 뒤를 따르며 항렬이 낮거나 어린 사람은 뒤에 있는다. 정침에 이르면 서쪽 계단의 탁자 위에 놓는다. 주인이 홀을 꽂고 독을 열고 여러 고위(考位)의 신주를 받들어 자리에 놓는다. 주부는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고 올라가 여러 비위(妣位)의 신주를 받드는데 역시 똑같이 한다. 그 부위는 자제 한 사람이 받는다. 끝나면 주인 이하는 모두 내려와 자리로 돌아간다. 主人以下, 各盛服盥手帨手, 詣祠堂前. 衆丈夫叙立, 如告日之儀. 主婦西階下北向立. 主人有母, 則特位於主婦之前, 諸伯叔母諸姑繼之. 嫂及弟婦姊妹, 在主婦之左. 其長於主母主婦者, 皆少進. 子孫婦女內執事者, 在主婦之後, 重行, 皆北向東上. 立定, 主人升自阼階, 搢笏焚香. 出笏告曰, 孝孫某, 今以仲春之月, 有事于高祖考某官府君, 高祖妣某封某氏, 曾祖考某官府君, 曾祖妣某封某氏, 祖考某官府君, 祖妣某封某氏, 考某官府君, 妣某封某氏, 以某親某官府君某親某封某氏祔食, 敢請神主, 出就正寢, 恭伸奠獻. 告辭, 仲夏秋冬, 各隨其時. 祖考有無官爵封諡, 皆如題主之文. 祔食, 謂旁親無後者, 及早逝先亡者, 無卽不言. 告訖, 搢笏斂櫝, 正位祔位, 各置一笥, 各以執事者一人捧之. 主人出笏前導, 主婦從後, 卑幼在後. 至正寢, 置于西階卓子上. 主人搢笏啓櫝, 奉諸考神主出就位. 主婦盥帨, 升奉諸妣神, 亦如之. 其祔位則子弟一人奉之. 旣畢, 主人以下皆隆復位.


가례증해(家禮增解)

■ 사당에 나아가 신주를 받들어 나와 정침으로 나아간다. ○ 『상례비요(喪禮備要)』: 차례대로 서서 재배하고 분향하고 고유(告由: 사당에 고함)한다. 備要: 序立, 再拜, 焚香, 告. ○ (경호 이의조) 『상례비요』에서 시제 때에 신주를 받들어 나올 때 재배한다는 말이 없고 유독 여기에 보탠 것은 아마도 신주에 나아갈 때 새벽에 배알하는 예와 통하는 것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자세한 것은 시제장에 보인다. (按)備要於時祭, 出主不言再拜, 而獨補之於此者, 恐是於詣位通, 有晨謁之禮故耳. 詳見時祭.


상변통고(常變通攷)

■ 사당에 나아가 신주를 받들어 나와 정침으로 나아간다 ○ (동암 류장원) 살펴보건대, 녜제(禰祭)의 신주를 받들고 나올 때 아뢰는 말에 ‘효자(孝子) 모(某)가 지금 운운(云云)’이라 하는데, 여기에서 녜제의 의식과 같다고 했으니, ‘효자 모’ 석자가 있어야 마땅하다. 案禰祭出主告辭, 孝子某, 今以云云. 此云如祭禰之儀, 則當有孝子某三字. ○ 『상례비요(喪禮備要)』: 아내나 아우 이하는 ‘망일(亡日)’로 쓴다. ○ 아내나 아우는 ‘감(敢)’자를 쓰지 않는다. ○ 고비를 함께 제사지낼 경우에는 ‘현고현비신주(顯考顯妣神主)’로 쓴다. ○ 아내나 아우 이하는 ‘추신정례(追伸情禮: 멀리 정과 예를 편다)’라 쓴다. 備要: 妻弟以下, 云亡日. ○ 考妣並祭, 則云(顯考顯妣神主. ○ 妻弟以下, 云追伸情禮.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