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불천위제

동영상으로 보는 불천위제
계문(식사마치기)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리는 헌다(안동 이우당 불천위제)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리는 헌다(안동 이우당 불천위제)
절차설명

합문에서 닫은 문을 여는 절차, 계문계문(啓門)이란 합문의 절차에서 닫은 문을 열거나 제사상 앞을 가린 병풍이나 휘장을 걷고 제관과 참사자들이 제청으로 들어가는 절차이다. 계문 역시 몇 가지 소절차가 부속되어 있다. 첫째로 축관이 9번 수저를 뜨는 시간을 기다렸다가 헛기침을 3번 한다. 이를 ‘삼희흠(三噫歆)’이라고 한다. 그러면 제청의 문을 열거나 병풍이나 휘장을 걷고 제관과 참사자 전원이 제청으로 들어와 서립한다. 둘째로 제사상에 올린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다음 여기에 메 3숟가락을 풀고 숟가락을 걸쳐 놓는다. 이를 헌다(獻茶), 혹은 봉다(奉茶), 진다(進茶)라고 한다. 집안에 따라 숭늉을 올리는 그릇을 바꾸면 조상신이 알아보지 못한다고 하여 국그릇의 국을 다른 그릇에 붓고 국그릇에 물을 올린다. 셋째로 숭늉을 드시는 시간을 기다리는 국궁(鞠躬)이다. 원래 헌다와 국궁은 차를 올리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차를 마시는 문화가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를 사용하지 않고 숭늉을 올리는 것으로 바뀌었다. 국궁을 마칠 때 역시 축관이 세 번 헛기침을 하면 참사자 모두가 바로 선다. 넷째로 철시복반(徹匙覆飯)의 소절차가 이어진다. 철시복반이란 정저 하였던 수저를 내리고, 열어두었던 메그릇의 뚜껑을 닫는다는 의미이다. 이는 실제적으로 제사 절차가 끝났음을 나타낸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