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례 절차
관례절차
택일(擇日) : 관례를 행할 날짜를 잡는 절차
-
택일(擇日)
택일(擇日) : 관례를 행할 날짜를 잡는 절차
-
고사당(告祠堂)
고사당(告祠堂) : 관례를 행할 것임을 사당에 고하는 절차
-
계빈(戒賓)
계빈(戒賓) : 관례를 주관하여 처리하는 주례의 역할을 담당하는 큰손님 빈을 청하는 절차
-
숙빈(宿賓)
숙빈(宿賓) : 관례 하루 전에 거듭 빈이 되어주기를 청하는 절차
-
진설(陳設)
진설(陳設) : 관례를 행하는 장소에 관례에 필요한 기물과 음식을 늘여 놓는 절차
-
진관복(陳冠服)
진관복(陳冠服) : 관자에게 씌우는 모자와 갈아입을 옷을 각 절차에 맞게 맞추어 가지런하게 정리해 놓는 절차
-
서립(序立)
서립(序立) : 주인 이하 참석자들이 관례를 행하는 장소에 나아가 서는 절차
-
영빈(迎賓)
영빈(迎賓) : 관례를 진행하는 주례격인 큰손님 빈을 맞이하는 절차
-
시가례(始加禮)
시가례(始加禮) : 관자에게 처음으로 관을 씌우는 절차
-
재가례(再加禮)
재가례(再加禮) : 관자에게 두 번째 관을 씌우는 절차
-
삼가례(三加禮)
삼가례(三加禮) : 관자에게 세 번째 관을 씌우는 절차
-
초례(醮禮)
초례(醮禮) : 관자에게 술을 내려 제사하는 절차
-
자관자례(字冠者禮)
자관자례(字冠者禮) : 관례를 올린 후 빈이 관자에게 자(字)를 지어주는 절차
-
현사당(見祠堂)
현사당(見祠堂) : 주인이 관자를 데리고 사당에 가서 알현하는 절차
-
현존자(見尊者)
현존자(見尊者) : 관자가 존장인 웃어른을 뵙는 절차
-
예빈(禮賓)
예빈(禮賓) : 주인이 빈을 대접하는 절차
-
현향선생(見鄕先生)
현향선생(見鄕先生) : 관자가 나가서 향선생과 아버지의 친구를 뵙는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