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례란
관례공간
사당
조상숭배 공간으로 관례의 처음과 마지막 의례가 행해지는 공간, 사당관례의 첫 번째 의례인 고사당(告祠堂)이 베풀어지는 장소이고, 관례를 마친 후 사후(事後) 행사로 성인이 된 관례자가 제일 먼저 조상을 알현하는 예가 치러지는 곳이다.
집 안의 다른 어떤 건물보다도 중시되었던 공간, 사당사당은 고려 말에 주자가례를 수용하면서 조상숭배의 공간으로 건립되었다. 자손은 부모가 살아 있을 때 효도를 다해야 하지만 그들이 죽은 뒤에도 제사를 정성껏 받드는 것이 보다 중시되었다. 조상과 자손의 관계 중 가장 중시되었던 것이 제사권이었을 정도로 제사공간인 사당은 중시되었다. 집을 지을 때도 사당터를 가장 먼저 잡았다. 다른 건물보다 높이 세웠고, 한번 세우면 헐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풍수설에서 말하는 명혈(名穴)도 사당터에 뭉쳐 있다고 믿었다.
조상을 받들기 위한 공간, 사당사당은 흔히 3칸으로 지으며, 주위에 담을 두르고 문을 따로 붙인다. 주위를 기화요초(琪花瑤草)로 꾸미며, 단청을 입히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사당이 차지하는 구역이 집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사람이 사는 집이라기보다는 조상을 받들기 위한 공간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사당을 갖추지 못한 집에서는 벽감(壁龕)이라고 하여 대청 뒤의 상부를 밖으로 내고 위패가 담긴 감실을 모신다.
종손의 집안에만 건립되는 공간, 사당사당은 종손의 집안에만 건립하는데, 내부에는 4대 선조(고조부)까지의 위패를 봉안한다. 왼쪽을 최상위의 공간으로 여겨 4대조의 신위를 모시고, 그 옆으로 차례에 따라 모신다. 4대가 지나면 맨 윗대의 위패는 모셔 내다가 그의 무덤 앞에 묻는다. 사당 안에는 언제나 4대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모든 중요한 의례가 행해진 공간, 사당조상을 중시하는 유교주의 사회에서 사당은 집안의 어느 공간보다 중요한 곳이다. 한편 고례(古禮)에는 근엄한 일을 모두 사당에서 거행했는데, 이는 그 의례를 중요한 일로 존중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일을 존중하는 것은 자신을 낮추고 선조를 높이는 것이다.조선시대에는 사당을 설치한 가정이 적고, 그 영당 또한 협소하여 예를 거행하기 어렵다. 이에 관례는 외청[대청]에서 하고, 계례는 중당에서 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