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혼례란

혼례도구
복식
활옷

붉은 공단에 찬란한 수를 놓은 소매가 넓고 곁이 터진 예복으로 혼례 할 때 입는 활옷활옷[華衣]이란 붉은 공단에 찬란한 수를 놓은 소매가 넓고 곁이 터진 예복으로 혼례 할 때 입는 부인의 예복이다. 가슴⋅등⋅소매 끝에 장수와 길복을 의미하는 연꽃⋅모란꽃 등의 화려한 수를 놓았다. 원삼(元衫)처럼 생겼고, 가례(嘉禮) 때 상류 계급에서 착용한 예복이나, 나중에는 서민도 혼례 때에 한해서 착용하였다. 『고려도경(高麗圖經)』 「귀부조(貴婦條)」에 의하면, 왕비의 옷은 대홍의(大紅衣)에 수(繡)를 놓은 옷이라고 하였다. 조선시대 부유한 부녀가 입었던 백화포(百花袍)는 옷에 꽃무늬가 많은 것이다. 모양은 활수(闊袖, 넓은 소매), 포의(襃衣, 옷자락이 넓고 큰 옷)에 대대를 띤 모습이다. 이것은 화의(華衣), 화의(花衣)로서 우리말로는 활옷이라고 한다. 『사례편람(四禮便覽)』에 의하면 염의는 활옷이며, 소매가 넓고 곁이 터졌고, 붉은 공단에 찬란한 수를 놓은 것으로 교배례(交拜禮)와 현구고례(見舅姑禮)를 할 때 입는다고 하였다. 『거가잡복고(居家雜服攷)』에 의하면 합근례와 현구고례를 할 때는 붉은 비단에 두루 연꽃을 가득히 수놓은 홍장삼(紅長衫, 부인의 예복으로 붉은 색으로 만든 나인이 입는 장삼)을 입는데, 그 제도는 비록 화려하고 곱다. 이 옷은 사대부의 처와 서민의 처가 혼례를 할 때 입는다고 하여 홍장삼이 활옷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활옷의 형태와 함께 입는 복식현존하는 유물에 의하면, 활활옷은 겉감이 다홍색, 안감이 남색 비단으로 만들어진 겹옷으로 소매가 넓고 뒷길이 앞길보다 길며, 옆선이 트이고, 색동과 한삼이 달려 있는 옷이다. 특징은 홍색비단과 길과 소매에 다양한 모양의 수(繡)가 놓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장수와 길복을 의미하는 바위⋅물결⋅불로초⋅연꽃⋅모란⋅봉황⋅원앙⋅나비⋅십장생 등의 문양과 이성지합(二姓之合)⋅만복지원(萬福之源)⋅수여산(壽如山)⋅부여해(富如海)와 같은 글씨를 수놓아 혼인생활의 염원을 담기도 하였다. 활옷을 입을 때는 노랑 삼회장저고리와 다홍 대란치마를 입고, 대대(大帶) 혹은 봉대(鳳帶)를 띤다. 머리에는 용잠(龍簪)을 꽂고 앞과 뒤에 댕기를 드리웠으며 칠보화관을 썼다. 신발은 온혜(溫鞋, 비단으로 만든 마른신)나 운혜(雲鞋, 앞부리와 뒤꿈치에 구름무늬를 새긴 여자의 마른신)를 신는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