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혼례란

혼례도구
복식
원삼

앞깃이 둥근 데에서 유래되어 부인의 예복으로 사용된 원삼원삼(圓衫)이란 앞깃이 둥근 데에서 온 명칭으로 조선시대 부인의 예복이다. 앞길보다 뒷길이 길고, 옆이 터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밈은 합임(合袵, 앞쪽을 여밀 때 섶이 없이 서로 맞대어진 형태)이고, 양 옆길이 절개되어 있다. 원삼은 조선 초 명나라에서 들어온 장삼(長衫, 부인의 예복) 즉, 장배자(長褙子)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상례 때에는 수의(襚衣)로 사용하였다. 『사례편람(四禮便覽)』에 의하면 신부집에서는 우귀(于歸, 신부가 처음으로 시댁으로 들어가는 의례) 때 신부가 입을 수 있도록 단의(褖衣, 황후의 옷 이름, 검은 천에 흰색으로 안을 받친 옷)와 면사포(面紗布)를 준비하는데, 단의는 속칭 당의(唐衣)라 하며, 연두색 비단으로 만들며 소매가 넓고 치마가 길어 염의와 비슷하지만 무늬가 없고 현대의 원삼이라고 하였다.원삼은 하의(霞衣), 장삼 등과 같이 예복으로 착용되었고, 조선후기가 되면 왕비⋅왕세자빈⋅황세손빈의 소례복(小禮服)으로, 군부인⋅왕자부인⋅옹주⋅공주 직관자 부인의 대례복(大禮服)으로 활용되었는데, 품계에 따라 색과 금박문이 달랐다. 양반의 부녀들은 초록원삼을, 서민들은 혼례 때에 한하여 초록원삼이 허용되어 조선시대 혼례복으로 정착되었다.

혼례복으로 정착된 원삼의 형태와 함께 입는 복식혼례복으로 정착된 원삼은 궁중의 원삼보다는 크기가 작다. 소매의 색동은 넓으며, 남⋅황⋅분홍⋅옥색⋅홍색 등의 색동을 여럿 덧달아 사용한 것들도 있다. 그리고 초록원삼에는 꽃⋅수복문⋅석류문⋅쌍학 등의 길상문을 화려하게 금박으로 찍거나 금직(金織, 금사로 무늬를 넣어 짠 천)을 하였다.원삼을 입을 때는 위로는 분홍 적삼⋅노랑 저고리⋅초록 저고리를 입고 아래로는 남치마와 홍치마 등을 입었다. 서민층에서는 저고리 삼작에 홍치마를 입는다. 머리는 큰낭자머리를 하고 용잠을 꽂은 후 큰 댕기를 뒤로 늘어뜨리고 앞에서는 양옆으로 내린다. 머리 위에는 족두리나 화관을 쓴다. 홍색 대대를 매는데 노리개를 대대에 걸기도 한다. 신발은 온혜(溫鞋, 비단으로 만든 마른신)나 운혜(雲鞋, 앞부리와 뒤꿈치에 구름무늬를 새긴 여자의 마른신)를 신는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