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혼례>혼례 절차>혼례절차>친영_전안례
URL

혼례 절차

혼례절차
친영_전안례
절차설명

친영을 하기 위해 신랑이 신부집으로 가서 기러기를 바치고 재배하는 절차인 전안례전안례(奠雁禮)란 친영(親迎)을 하기 위해 신랑이 신부집으로 가서 기러기를 바치고 재배하는 절차이다. 친영을 할 경우 전안례를 한 후 바로 우귀(于歸)를 한다. 만약 친영을 하지 않고, 반친영을 할 경우에는 신부집에서 교배례(交拜禮)와 합근례(合巹禮)를 한 후에 당일로 우귀를 하기도 하고, 3일에서 길게는 몇 년을 묵은 후에 우귀를 하기도 한다. 최소 3일 이상 신부집에 머무를 경우에는 신부집에서 초야(初夜)를 치르게 된다. 혼주가 대문 밖 막차로 나아가 신랑을 맞이하여 서향하여 재배한다. 신랑은 이에 동향하여 답배(答拜)로 재배한다. 『사의(士儀)』에서는 “우리나라에서는 대반(對盤), 전통혼례에서 신랑측에서 신랑을 맞이하여 대접하는 사람)이 나가서 신랑을 맞이하는데, 이는 고례가 아니다.”고 하였다. 신부 혼주와 신랑이 서로 읍하고 사양하며 들어간다. 종자가 기러기를 들고 따른다. 계단에 이르면 세 번 서로 읍한다. 신랑은 기러기를 들고 따라가 대청에 이른다. 신부측 혼주는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서 서향하여 선다. 신랑은 서쪽 계단으로 올라가 북향하여 무릎 꿇고 땅에 기러기를 놓는다. 주인의 시종이 그것을 받는다. 신랑이 엎드렸다 일어나서 재배한다. 신부측 혼주는 답배하지 않는다. 만약 족인의 딸이면 아버지가 주인을 따라 나가 맞이하여 그 오른쪽에 선다. 손위면 조금 나아가五 손아래면 조금 물러난다. 우리나라에서는 동뢰연(同牢宴)을 하는 초례청(醮禮廳) 한쪽에 별도로 전안을 할 수 있도록 전안청(奠雁廳)을 차리는 점이 예서와 차이가 있다.

예서기록

주자가례

11. 주인이 나와 맞이하면, 신랑은 들어가 전안례(奠雁禮)를 행한다.【主人出迎, 壻入奠鴈】 주인은 대문 밖에서 신랑을 맞이하여 읍하고 사양한 뒤 들어오고, 신랑은 기러기를 들고 따른다. 청사(廳事)에 이르면, 주인은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서쪽을 향하여 서고, 신랑은 서쪽 계단으로 올라가 북쪽을 향하여 꿇어 앉아 기러기를 땅에 내려놓는다. 주인의 시자(侍者)가 기러기를 받는다. 신랑은 엎드렸다 일어나 재배하고, 주인은 답배하지 않는다. 친족의 딸인 경우에는 신부의 부친이 주인을 따라 나가 맞이하고는 주인의 오른쪽에 서는데, 항렬이 높으면 약간 앞쪽으로 나가고 낮으면 약간 뒤쪽으로 물러나 선다. ○ 무릇 폐백은 살아있는 기러기를 쓰는데, 머리가 왼쪽을 향하도록 하고, 생색증(生色繒)으로 얽어 묶는다. 기러기가 없으면 나무로 조각하여 만든다. 기러기를 쓰는 것은 음양에 순종하여 오고가는 뜻을 취한 것이다. 정자(程子)는 “두 번 짝을 맺지 않음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主人迎壻于門外, 揖讓以入, 壻執鴈以從. 至于廳事, 主人升自阼階立西向, 壻升自西階北向跪, 置鴈於地. 主人侍者受之. 壻俛伏, 興, 再拜. 主人不答拜. 若族人之女, 則其父從主人出迎, 立於其右. 尊則少進, 卑則少退. ○ 凡贄用生鴈, 左首, 以生色繒交絡之. 無則刻木爲之. 取其順陰陽往來之義. 程子曰, “取其不再偶也.”】


사례편람

11. 주인이 나와 맞이하면, 신랑은 들어가 전안례(奠雁禮)를 행한다.【主人出迎, 壻入奠鴈】(『가례』 11과 동일) 주인은 대문 밖에서 신랑을 맞이하여 읍하고 사양한 뒤 들어오고, 신랑은 기러기를 〚머리를 왼쪽으로 하여〛 들고 따른다. 청사(廳事)에 이르면, 주인은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서쪽을 향하여 서고, 신랑은 서쪽 계단으로 올라가 북쪽을 향하여 꿇어 앉아 기러기를 땅에 내려놓는다. 주인의 시자(侍者)가 기러기를 받는다. 신랑은 엎드렸다 일어나 재배하고, 주인은 답배하지 않는다. ○ 친족의 딸인 경우에는 신부의 부친이 주인을 따라 나가 맞이하고는 주인의 오른쪽에 서는데, 항렬이 높으면 약간 앞쪽으로 나가고 낮으면 약간 뒤쪽으로 물러나 선다. (【主人迎壻于門外, 揖讓以入, 壻執鴈〚左首〛以從. 至于廳事, 主人升自阼階立西向, 壻升自西階北向跪, 置鴈於地. 主人侍者受之. 壻俛伏, 興, 再拜. 主人不答拜. ○ 若族人之女, 則其父從主人出迎, 立於其右. 尊則少進, 卑則少退.】 〔전안례를 행할 때의 준비물【諸具】〕 시자【侍者】 자리【席】 촛대 2개【燭臺二】


사의절요

12. 주인이 나와 맞이하면, 신랑은 들어가 전안례(奠雁禮)를 행한다.【主人出迎, 壻入奠鴈】(『가례』 11과 동일) 주인은 대문 밖에서 신랑을 맞이하여 읍하고 사양한 뒤 들어오고, 신랑은 기러기를 들고 따른다. 계단에 이르면 세 번 읍을 한 뒤 주인은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서쪽을 향하여 서고, 신랑은 서쪽 계단으로 올라가 북쪽을 향하여 꿇어 앉아 기러기를 땅에 내려놓는다. 신부 집안의 시자(侍者)가 기러기를 받는다. 신랑은 엎드렸다 일어나 재배하고, 주인은 답배하지 않는다.【主人迎壻于門外, 揖讓以入, 壻執鴈以從. 至階三揖, 主人升自阼階立西向. 壻升自西階北向跪, 置鴈於地. 女家侍者受之. 壻俛伏, 興, 再拜. 主人不答拜.】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