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혼례>혼례 절차>혼례절차>우귀(신행)
URL

혼례 절차

혼례절차
우귀(신행)
절차설명

신랑이 신부를 데리고 신랑집으로 가는 절차인 우귀우귀(于歸)란 전안례를 마치고, 신랑이 신부를 데리고 신랑집으로 가는 것을 말한다. 신부의 입장에서 보면 새로운 집으로 간다는 뜻으로 신행(新行)인 셈이다. 『가례(家禮)』를 비롯한 예서에서는 ‘친영(親迎)’을 한 후에 신랑집에서 혼인예식을 치르는 것으로 되어 있어 신랑이 전안례(奠鴈禮)를 마치면 곧바로 신부를 인도하여 신랑집으로 가서 혼인예식인 동뢰연(同牢宴)을 치르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예서에 기록된 친영과 다르게 진행되는 우리나라의 초행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초행을 한 신랑이 전안례를 올리고 곧바로 교배례와 합근례 등의 동뢰연을 올리고 우귀를 하거나 3일간 신부집에 머문 후에 우귀를 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었다. 그래서 신랑이 신부집에 머무는 동안 신랑의 부모를 뵙는 절차를 모두 행한다. 친영을 하더라도 신랑은 3일 후에 재행(再行)이라고 하여 신부의 부모에게 인사를 하러 가는 절차가 있다. 그러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3일간 머무는 동안 하루를 신부의 친척집이나 이웃집에서 지내고 다시 신부집으로 들어가 신부의 부모를 뵙는데, 이를 인재행(引再行)이라고 한다. 그러나 친영을 할 경우에는 전안례를 마치고 곧바로 우귀를 하기 때문에 절차상 약간의 차이가 발생한다. 그래서 친영하는 날 저녁 신랑이 신부 어머니와 여러 친족을 뵙지 않고 술과 음식을 차리지 않는 것은 신부가 아직 시부모를 뵙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부집에서는 신랑을 대접하지 않고 전안례가 끝나면 바로 보낸다.

유모가 신부를 데리고 나오면서 시작되는 우귀신랑이 전안례를 마치면, 유모가 신부를 데리고 중문을 나온다. 이때 신랑이 읍하고 나가기를 청하고는 서쪽 계단으로 내려가서 먼저 나간다. 이때 혼주는 내려가지 않는다. 신부가 유모의 인도 하에 뒤따라서 가마 곁으로 간다. 신랑이 발을 걷고 기다리면 유모가 사양하여 말하기를, “가르치지 못하여 더불어 예(禮)를 차리기에 부족합니다.(未敎不足與爲禮也)”라고 한다. 유모가 부축하여 신부가 가마에 오르면 신랑이 말을 타고 신부의 가마를 앞선다. 신부의 가마 앞에도 두 개의 촛불이 인도한다. 신랑이 자기 집에 도착하여 청사(廳舍, 집의 안마당)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신부에게 가마에서 내리기를 청한다. 신랑이 신부에게 읍하면서 인도하여 방으로 들어간다. 『의례(儀禮)』 「사혼례(士婚禮)」에 의하면 “침문(寢門, 동뢰연을 하는 방 앞)에 이르면 읍하고 들어가는데, 신부는 서쪽 계단으로 오른다.”고 하였다. 합근례를 마치면 사돈댁 큰손님을 대접하는 예빈(禮賓)을 한다. 만약 친영을 했을 경우에는 신랑집에서 신부집 손님을, 친영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신부집에서 신랑집 손님을 대접하게 된다. 남자 손님은 바깥사랑에서, 여자 손님은 중당에서 대접한다. 여자 손님은 대부분이 종자(從者)이다. 각기 포백(布帛) 등의 폐백(幣帛)으로 보답하는데, 양은 적당히 하고 금전을 주지는 않는다.

예서기록

주자가례

12. 보모[姆]가 신부를 모시고 나와 수레에 오른다.【姆奉女出, 登車】 보모[姆]는 신부를 모시고 중문을 나오면,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서쪽 계단으로 내려간다. 주인은 내려가지 않는다. 신랑이 나가면, 신부가 따라간다. 신랑은 가마의 발을 들고서 기다린다. 보모[姆]가 “아직 가르침을 받지 못하여, 더불어 예를 행하기에 부족합니다.”라고 말한다. 신부가 이어서 수레에 오른다.【姆奉女出中門, 壻揖之, 䧏自西階. 主人不降. 壻遂出, 女從之. 壻擧轎簾以俟. 姆辭曰, “未敎, 不足與爲禮也.” 女乃登車.】 13. 신랑이 말을 타고 신부의 수레에 앞장선다.【壻乘馬, 先婦車】 신부의 수레 또한 두 개의 횃불[燭]이 앞에서 인도한다.【婦車亦以二燭前導.】 14. 집에 도착하면 신부를 인도해 들어간다.【至其家, 導婦以入】 신랑이 집에 도착하면, 청사에 서서 신부가 수레에서 내리기를 기다렸다가 읍하고는 인도해 들어간다.【壻至家, 立于廳事, 俟婦下車, 揖之, 導以入.】


사례편람

12. 보모[姆]가 신부를 모시고 나와 수레에 오른다.【姆奉女出, 登車】(『가례』 12와 동일) 보모[姆]는 신부를 모시고, 〚『집설』 “신부는 머리띠와 몽두를 한다.”〛 중문을 나오면,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서쪽 계단으로 내려간다. 주인은 내려가지 않는다. 신랑이 나가면, 신부가 따라간다. 신랑은 가마의 발을 들고서 기다린다. 보모[姆]가 “아직 가르침을 받지 못하여, 더불어 예를 행하기에 부족합니다.”라고 말한다. 신부가 이어서 수레에 오른다. 〚『주자대전(朱子大全)』 “수레의 발을 내린다.”〛【姆奉女, 〚『集說』 “有帕蒙頭”〛, 出中門, 壻揖之, 䧏自西階. 主人不降. 壻遂出, 女從之. 壻擧轎簾以俟. 姆辭曰, “未敎, 不足與爲禮也.” 女乃登車. 〚『大全』 “下簾.”〛】 〔신부를 모시고 수레에 오를 때의 준비물【諸具】〕 종자【從者】 가마【轎】 휘장【帕】 예물【贄】 폐백【幣】 소반【盤】 보자기【袱】 촉롱 4개【燭籠四】 13. 신랑이 말을 타고 신부의 수레에 앞장선다.【壻乘馬, 先婦車】(『가례』 13과 동일) 신부의 수레 또한 두 개의 횃불[燭]이 앞에서 인도한다.【婦車亦以二燭前導.】 14. 집에 도착하면 신부를 인도해 들어간다.【至其家, 導婦以入】(『가례』 14와 동일) 신랑이 집에 도착하면, 청사에 서서 신부가 수레에서 내리기를 기다렸다가 읍하고는 인도해 들어간다. 〚『의례(儀禮)』 「사혼례(士昏禮)」 “침문에 이르면 읍을 하고 서쪽 계단으로 올라간다.” 『주자대전(朱子大全)』 “신부가 신랑을 따라 방으로 간다.”〛【壻至家, 立于廳事, 俟婦下車, 揖之, 導以入. 〚「士昏禮」 “及寢門揖入, 升自西階.” 『大全』 “婦從之, 適其室.”〛】


사의절요

13. 보모[姆]가 신부를 모시고 나와 수레에 오른다.【姆奉女出, 登車】(『가례』 12와 동일) 보모[姆]는 신부를 모시고 중문을 나온다.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서쪽 계단으로 내려간다. 신랑이 나가면, 신부가 따라간다. 신랑은 가마의 발을 들고서 기다린다. 보모[姆]가 “아직 가르침을 받지 못하여, 더불어 예를 행하기에 부족합니다.”라고 말한다. 이어서 신부를 인도하여 가마에 태운다.【姆奉女出中門. 壻揖之, 䧏自西階, 遂出, 女從之. 壻擧轎簾以俟. 姆辭曰, “未敎, 不足與爲禮也.” 乃導婦入轎.】 14. 신랑이 말을 타고 신부의 수레에 앞장선다.【壻乘馬, 先婦車】(『가례』 13과 동일) 올 때의 의절과 같이 한다. 신부의 가마 또한 두 개의 횃불[燭]이 앞에서 인도한다.【如來儀. 婦轎亦以二燭前導.】 15. 집에 도착하면 신부를 인도해 들어간다.【至其家, 導婦以入】(『가례』 14와 동일) 신랑이 집에 도착하면, 청사에 서서 기다린다. 신부의 가마가 이르고 보모[姆]가 신부를 인도하여 가마에서 내리게 하면 신랑은 읍하고는 인도하여 들어간다. 서쪽 계단에 이르면 신부에게 읍을 하고 먼저 오르고 신부가 따라서 올라간다. 신랑이 배석(拜席)에 나아가 또 읍을 하면, 신부가 배석에 나아가 서로 마주보고 선다.【壻至家, 立于廳事俟. 婦轎至, 姆導婦出轎, 壻揖之, 導以入. 至西階揖之, 先升, 婦從升. 壻就拜席, 又揖之, 婦就拜席 相向立.】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