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혼례란

혼례도구
소품
사주단자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신랑의 사주(四柱)를 적어서 보내는 단자인 사주단자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신랑의 사주(四柱)를 적어서 보내는 단자인 사주단자

신랑의 사주인 생년⋅월⋅일⋅시의 네 간지를 적어서 보내는 단자인 사주단자사주단자(四柱單子)는 정혼(定婚)을 한 뒤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신랑의 사주(四柱)인 생년⋅월⋅일⋅시의 네 간지(干支)를 적어서 보내는 단자이다. 이를 주단(柱單)⋅단자(單子)⋅사성(四星)이라고도 한다. 주로 납채(納采)를 할 때 납채서(納采書)와 함께 보낸다. 편지지를 7번 또는 5번 접어서 그 한가운데에 신랑의 사주를 세로로 쓰고 백지에 싸서 봉투에 넣고 근봉(謹封)이라는 띠로 감싼다. 봉투 앞면에는 사주라 쓰고 그 봉투는 봉하지 않는다. 봉투에 사주를 넣으면 수숫대나 싸릿대를 한쪽 끝이 붙은 상태로 반으로 쪼개 그 사이에 봉투를 끼워 사주가 구겨지지 않게 한다. 집안에 따라 청홍색실로 묶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예서에서만 보이는 사주단자사주단자는 중국에서 간행된 각종 예서(禮書)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우리나라의 예서에서만 보인다. 사주단자의 쓰임새는 신랑의 사주와 신부의 사주를 통해 길한 날로 혼례날을 잡기 위한 것이다. 이에는 첫날밤을 통해 아들을 낳기 위한 염원도 작용한 것이라고 한다. 『사의(士儀)』에 의하면 “지금 풍속에 정혼한 다음에 단지 남자의 생년월일시를 전지(牋紙)에 적어 이름을 ‘사주단자’라 하고, 노복을 시켜 여자집에 보내는 것으로 납채의 예를 대신하는데, 한 자라도 서찰을 써서 보내는 의례가 없으니 그 예를 존중하고 그 일을 경건히 여기는 도리가 전혀 아니다. 고례에 의거하여 서찰을 갖추고 시속대로 주단(柱單, 사주단자)을 보낸다면, 일거에 2가지 모두 극진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자집에서도 답서를 내는 것이 옳다.”고 하여 사주단자를 보낼 때는 반드시 서찰을 함께 보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