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상례란

상례도구
소품
혼백
고인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임시 위패인 혼백
고인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임시 위패인 혼백

고인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임시 위패, 혼백혼백(魂帛)이란 고인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임시 위패이다. 산소에서 신주(神主)를 만들기 전까지 고인의 영혼이 의지하는 임시 위패로 영좌(靈座)에 모신다. 혼백은 l자 2치의 흰 명주나 모시를 접어 만들고 위에 3푼 넓이의 백지를 두르는데 윗부분에 ‘상(上)’자를 쓴 다음 혼백상자에 모신다. 혼백상자는 백색으로 만들되 뚜껑 앞에 ‘전(前)’자를 쓰고 가운데에 손잡이를 달아 여닫기에 편하도록 한다.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나무로 상자를 만들기도 한다.혼백은 고인의 영혼이 의빙(依憑, 깃들어 의지하게)하게 하는 것이며 시신을 가린 병풍 앞에 교의(交椅)를 놓은 후 초혼을 할 때 사용했던 옷인 복의(復衣)를 백지에 싸서 교의 위에 놓고 그 위에 혼백상자를 모시는데 흰 명주보로 덮는다.혼백을 만드는 시기는 고인을 목욕시켜 수의를 입히는 습(襲)의 절차에서다. 혼백을 모신 교의 앞에 제사상을 마련하고 술과 과일을 차리고 상보로 덮어 놓는다. 그 앞에 향탁을 마련한다. 저녁이면 혼백을 눕혀서 모신다.혼백은 종류가 다양하다. 하나는 명주 혹은 한지를 사통팔달로 접은 속제(俗制)의 혼백이다. 둘은 비단 5필(혹은 명주 1필)을 각각 양끝에서 마주 말아서 한 묶음으로 묶어서 만든 속백(束帛)이다. 셋은 비단을 접어 긴 가닥을 만들고 서로 꿰어 묶어서 위로 머리를 나오게 만들고, 옆으로 양쪽 귀를 내며 나머지는 드리워 양 발을 삼아 사람의 형상과 비슷하게 만드는 동심결(同心結)이 있다. 옛날에는 중(重)을 만들어 혼백을 대신하였는데, 역시 신주를 만들면 철거하였다. 중은 나무를 깎고 비녀 구멍을 뚫어 매다는 형태로 만든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