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관례란

관례도구
복식
복건
복건

시가에서 관자의 치포관 위에 덧씌워 주는 관인 복건복건(幅巾)은 시가(始加)에서 관자의 치포관(緇布冠) 위에 덧씌워 주는 관을 말한다. 복건이란 한 폭의 베를 사용하여 머리를 감싸고, 뒤쪽으로 드림이 있는 모자의 일종으로 은사(隱士,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세상을 피해 학문을 하며 조용히 살아가는 선비)들이 주로 사용하였다. 건이라는 말에서 보듯 관과는 차이가 있다. 복건이란 명칭은 온폭[全幅]의 천을 사용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복건(幞巾)이라고도 한다. 치포관 위에 복건을 쓴다는 것은 어른이 되었음을 알게 하고, 검은색의 포를 사용함으로써 옛 것을 기억하게끔 하는 의미이다.

중국과 우리나라에서의 복건 변천사복건은 후한(後漢) 때 유행했고, 진(秦)나라와 당대(唐代)에 이르러서는 은사나 도인의 아복(雅服, 평상복)으로 사용되었다. 그 뒤 송대(宋代)에 와서 사마광(司馬光)이 복건과 심의(深衣)를 일상복으로 착용하였는데, 이를 주희(朱熹)가 『가례(家禮)』에서 추천하면서 유학자들 사이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우리나라의 경우 고려 말 성리학이 전래된 이후로 유학자들이 심의와 함께 복건을 유가(儒家)의 법복으로 숭상하여 착용하게 되었으나 그 모습이 괴상하여 일반화되지는 못하였고, 일부 유학자들이 조선말까지 착용하였다. 관례 때에는 시가에서 복건을 심의와 함께 치관(緇冠) 위에 덧쓰게 하였다. 관례 뒤 흑립을 쓰기 전까지 초립(草笠)의 받침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후대(後代)에는 남자아이의 돌에 장식적 쓰개로 쓰게 하여, 관례를 치르기 전까지 예모(禮帽)로 착용하게 하였다.

복건을 쓰는 방법쓰는 법은 먼저 건으로 머리를 덮는데, 첩(㡇, 복건의 이마 부분에 닿는 테)을 이마 앞에 대고 싸서 2개의 작은 띠를 건의 바깥쪽에서 뒤로 돌려 정수리 뒤쪽에서 서로 묶고 나머지는 드리운다. 관례에서는 치관 위에 쓴다. 심의를 입을 때는 반드시 치관을 쓰고 그 위에 복건을 써야 한다. 공자(孔子)는 이에 대해 “복건을 쓰는 것은 고례를 잊지 않았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복건을 제작하는 방법복건을 만드는 천은 검은 비단이나 명주를 쓰는데 길이는 6자 4치 정도이고, 넓이는 1자 4치 정도이다. 『가례(家禮)』에 의하면 검은 깁(명주실로 바탕을 조금 거칠게 짠 비단) 6자 정도를 쓴다. 가운데를 접어 오른쪽 가장자리는 접을 곳을 따라 횡첩(橫㡇, 복건의 테)을 만들고 왼쪽 가장자리는 뒤집어 접는다. 첩의 왼쪽 4, 5인치 사이부터 비스듬히 왼쪽으로 꿰매며 둥글게 내려와 왼쪽 가장자리를 따라 양 끝에 이르게 한다. 꿰매던 깁을 다시 뒤집어 안으로 향하게 해서 첩을 이마 앞에서 싸고, 양 상투 옆에 이르면 각각 띠 하나를 다는데, 너비는 2치, 길이는 2자이다. 이 끈으로 복건 밖에서 정수리 뒤로 넘겨 서로 묶어 드리운다. 묶고 남은 끈은 뒤로 드리운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