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관례란

관례도구
복식
심의
심의

시가에서 관자가 상투를 틀고 치포관 위에 복건을 쓴 후에 입는 옷인 심의심의(深衣)는 관자(冠者)가 시가(始加)를 올릴 때 상투를 틀고 치포관 위에 복건을 쓴 후에 입는 옷이다. 심의란 유학자들이 일상복으로 입던 겉옷이다. 옷감은 백세포(白細布)라고 하여 잿물에 삶아서 두들겨 빤 희고 고운 베를 사용한다. 깃⋅소맷부리 등 옷의 가장자리에 검은 색 비단으로 선(襈)을 두른다. 대부분의 포(袍)와는 달리 저고리[衣]와 치마[裳]를 따로 재단하여 서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12폭의 치마가 몸을 휩싸고 있어 심원(深遠, 깊고 원대한)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심의라 한 것으로 보인다. 심의를 입을 때는 복건(幅巾)⋅대대(大帶)⋅흑리(黑履)를 착용한다. 시가(始加)에서 심의를 입는 것은 아이가 어른이 되는 순간에 어른으로서 지녀야 할 성품이 심의 안에 모두 들어 있기 때문이다.

심의의 기원과 우리나라로의 전래심의의 기원은 주(周)나라 이전이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중기 이전에 전래된 것으로 보이나 정확하지는 않다. 심의에 대한 최초 기록은 『예기(禮記)』 「왕제편(王制篇)」의 “유우씨(순임금)가 심의를 입고 양로의 예를 행하였다”라는 것이다. 또한, 「옥조(玉藻)」 및 「심의(深衣)」편에 심의의 형태 및 부분적인 치수까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그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高麗史)』 예종 조에 “계축에 요(遼)의 제전조위사(祭奠弔慰使)가 숙종의 우궁(虞宮)에서 제사(祭祀)하였는데 왕이 심의를 입고 이를 도왔다.”고 한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 고려말 성리학의 전래와 함께 『가례(家禮)』에서 심의를 유학자의 법복으로 제시하면서 유학자들에게 널리 통용되었고, 조선시대까지 이어지는데, 관혼상제의 의례복으로 사용되었다.

심의의 제작 방법과 각 부분에 담긴 철학적 의미심의는 둥근소매[圓袂]와 굽은깃[曲袷]으로 되어 있으며, 저고리와 치마를 따로 만들어 연결한 긴 포(袍)형의 옷이다. 허리둘레는 밑단 둘레의 반이고 옷의 전체길이는 발뒤꿈치에 닿게 한다. 깃과 소매부리, 치마 옆의 트인 곳, 아랫단은 천 위에 포개어 꿰매고, 소매부리는 천 바깥으로 별도로 달아내어 선을 두른다. 심의의 각 부분에는 철학적인 의미가 들어 있는데, 이것이 서로 융화하여 심의를 착용한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정화하고, 고르고 가지런하게 하여 항상 자아를 올바르게 다스렸으면 하는 바람이 내포되어 있다고 한다. 저고리와 치마를 따로 짓는 것은 우주의 근본이 건곤(乾坤)에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건은 저고리를, 곤은 치마를 상징하는 것으로 건이 곤을 통섭하므로 이 둘을 이어 붙인 것이다. 유장(劉璋)은 “치마를 12폭으로 한 것은 1년 12달을 상징한다.”고 하여 철학적 의미는 더욱 심화된다. 『가례증해(家禮增解)』에 의하면 “진씨는 소매가 둥근 것은 둥근 자[規]에 따른 것이니, 둥글다는 것은 하늘의 형체이다. 굽은깃은 직각 자[矩]를 따른 것이니, 모난 것은 땅의 형상이다. 부승(負繩, 심의의 뒷중심선)은 곧은 것을 따른 것이요, 하제(下齊, 아랫단)는 평평함을 따른 것이니 곧은 것과 평평함은 사람의 도리라고 하였다.”또, 걸으며 손을 올려도 부승(負繩)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부승이 지니는 철학적 의미가 다른 것에 의해 흩어지지 않게 하려는 의도이다. 부승은 직(直)에 응하였다 하여 곧고 바른 선을 등에 짐으로써 그 정(政)이 풀어짐을 바로잡아 곧게 하기 위함이다. 아랫단을 저울처럼 평평하게 한 것은 뜻과 마음을 평안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옷 모양을 높고 낮음의 차등 없이 고르게 하려 한 것이다. 선의 색을 구분하기도 하는데, 부모와 조부모가 모두 계시면 오채(五彩)로 꾸며 즐거움을 나타내고, 부모가 계시면 청색으로 하여 공경함을 나타낸다. 부모가 없는 사람은 선을 본 바탕색 그대로 하여 슬픔을 나타낸다. 그러나 후대에 와서는 그것이 번거롭다 하여 모두 검은색 선을 두르게 되었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