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관례란

관례도구
복식
난삼
난삼

삼가에서 관자가 입는 겉옷인 난삼난삼(襴衫, 幱衫)은 삼가(三加)에서 관자(冠者)가 입는 겉옷이다. 원래 난삼이란 생원(生員)이나 진사(進士)에 합격한 사람이 입던 예복이다. 녹색이나 검은 빛의 단령(團領)에 각기 같은 색의 선을 둘렀다. 삼가례(三加禮)에서 난삼을 입는 것은 어른의 예복을 입어 예(禮)를 깨닫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난삼의 도입과 변천사난삼은 심의에 난(襴, 바지와 치마가 붙어 있는 포 형태의 겉옷)과 거(袪, 소맷부리)를 붙여서 만든 것으로, 당(唐)⋅송(宋)⋅명(明) 3대에 걸쳐서 유생복과 관례복으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광종(光宗) 때 과거제도와 함께 전래되어 과거에 급제한 선비들에게 입게 한 것으로, 조선 초기에 와서야 정착되었다.난삼은 시대에 따라서 형태⋅재질⋅색깔 등이 변화되었는데, 조선 초기에는 청색 바탕에 검은 선을 둘렀고, 세종 때에는 옥색 바탕에 청색 선을 둘렀고, 선조 때에는 남색 바탕에 청색 혹은 검은 선을 둘렀다. 이후 숙종 때부터는 옥색에 검은 선을 둘러 만든 난삼이 조선 말기까지 이어졌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