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관례란

관례도구
복식
도포

삼가에서 관자가 난삼(襴衫) 대신에 입는 겉옷인 도포도포(道袍)는 삼가(三加)에서 난삼(襴衫)이 없을 경우 관자(冠者)가 입는 겉옷이다. 원래 도포란 선비들이 평상시에 입던 겉옷을 말한다. 조선 중기 이후 유행하였으며, 관리들도 관청에 나갈 때를 제외하고는 평상복으로 많이 착용하였다.

도포의 기원과 변천사도포의 기원은 『성호사설(星湖僿說)』과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의하면 도교나 불교에서 유래한 것이다. 원래는 승려의 권투(圈套, 장삼과 같은 것)라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승복인 장삼(長衫)과 동일하고 명칭 역시 도복이 분명하다고 하였다. 성호는 “옛날 큰 갓옷[大裘]의 자취이다.”라고 하였다. 『남당초고(南塘草稿)』에 의하면 “관복을 일상복으로 입지 못하기 때문에 관복을 본떠서 변형하여 만들어 일상복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고구려의 포가 고려의 백저포가 되었고, 백저포는 명나라 제도의 영향을 받아 조선의 직령포가 되었으며, 직령포는 다시 도포로 변하였다고 할 수 있다. 도포는 정조 때가 되면 관리들과 일반 선비들의 평상 시 겉옷이 되기도 하였지만, 유생들의 공복(公服)이나 제복(祭服)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도포는 천민은 입지 못하도록 하였으나 조선 말엽에는 그 금제가 잘 지켜지지 않아 하류계급에서도 도포를 착용하는 일이 많았다.

도포의 형태와 함께 입는 복식도포의 깃⋅섶⋅고름은 두루마기와 형태가 같다. 단지, 그 넓이가 넓고 소매는 넓으면서도 두리소매이며, 품이 넓고 길이는 발목까지 온다. 도포의 뒷자락은 전삼(展衫)이 한 겹 더 붙어 있어 두 겹이고, 뒷중심의 터진 곳을 가려준다. 도포에는 세조대(細絛帶)를 띠는데, 문관 당상관은 훈색(纁色) 또는 자색(紫色), 당하관은 청색 또는 녹색을 사용하였으며, 그 사이에는 수많은 색이 있어 제도를 떠나 자유로이 선택하는 등 신분에 따라 색을 달리 하였다. 도포를 입을 때는 갓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사방관(四方冠)⋅동파관(東坡冠)⋅유건(儒巾)을 착용하기도 하였다. 신발은 태사혜(太史鞋)를 신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일반인들은 짚신을 신었다. 조선 말기 1884년(고종 21)의 의복제도 변경으로 소매가 넓은 다른 의복과 함께 폐지되었고, 두루마기로 대신하게 되었다.『사의(士儀)』에 따르면 “삼가(三加)에 비록 난삼(襴衫)을 입도록 하였지만, 난삼은 당나라 초기 선비들의 겉옷이고, 지금은 진사(進士)가 입는 옷이다. 그러나 선비와 서인들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옷이 아니다. 그래서 도포로 대신하는 것이 더 좋다.”고 하였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