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관례란

관례도구
복식
유건

삼가에서 관자가 복두(幅頭) 대신 머리에 쓰는 관인 유건유건(儒巾)은 관자(冠者)가 삼가(三加)에서 복두(幅頭) 대신 머리에 쓰는 관이다. 유건이란 과거에 급제하지 않은 유생들이 통상 예복을 입을 때 쓰는 건이다. 모양을 보고 민자건(民字巾), 민자관(民字冠)이라고도 한다. 유건이 아닐 경우 연건(軟巾, 소과(小科)에 뽑힌 사람이 백패(白牌)를 받을 때에 쓰던 건이다.)을 쓰기도 한다.

중국과 우리나라에서의 유건 변천사중국에서는 명(明)나라 때 아직 급제(及第)하지 못한 거인(擧人)들이 썼던 장보관(章甫冠)을 유건이라 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부터 명나라의 제도를 본받아 생원(生員)⋅학생(學生)⋅사인(士人)들이 유건을 착용하였다. 후한대(後漢代)부터 유행되다가 주희(朱熹)가 『가례(家禮)』에서 추천한 다음부터 유학자(儒學者)들 사이에 유행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일반화되지 못하고 미혼 남자들이 통상 예복에 착용하였다. 이긍익의 『연려실기술별집(燃藜室記述別集)』에 소개된 당시 중국의 유건 형태는 대나무를 잘게 쪼개어 엮은 후 검은 색 천으로 싸거나 종이로 배접하고, 또는 칠(漆)을 한 것으로서 모양이 반듯하고 평평하였다고 하였다. 과거인(科擧人)과 무학생(武學生)은 모두 유건에 흑단령(黑團領)을 착용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유건은 죽결(竹結)이 아니라 대개 흑저(黑紵, 검은색 물을 들인 모시)를 접어 만들었는데 차츰 후대로 내려오면서 유생들이 관(館)에서 유건을 썼다고 한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